“무장단체 사령관 메수드가 지시, 빌랄과 이크라물라가 범행” 진술
베나지르 부토 전 총리 암살에 가담한 용의자가 처음으로 검거됐다고 현지 언론과 외신이 19일 보도했다.
파키스탄 북서변경주(州) 보안당국의 한 고위 관계자는 현지 일간 '더 뉴스'와 AP통신에 부토 전 총리 암살에 가담한 혐의로 15세의 소년을 체포해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부토 전 총리의 암살 용의자가 체포되기는 처음이다.
이에 따라 사망원인과 배후를 둘러싼 의혹이 풀릴 지 주목된다.
익명을 요구한 이 관계자는 검거된 '아이테자즈 샤'라는 이름의 이 소년이 지난 달 라왈핀디에서 부토 전 총리를 암살한 5명 가운데 한 명이라고 전했다.
또 소년을 조사한 결과 암살범들이 남(南) 와지리스탄에서 알-카에다 및 탈레반과 연계해 활동중인 무장단체 지도자 바이툴라 메수드의 지시로 파견됐음이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메수드는 파키스탄 정부와 미국 중앙정보국(CIA)가 부토 암살 배후로 지목했던 인물이다.
지난 17일 붙잡힌 이 소년은 암살단원 중 '빌랄'이라는 사람이 라왈핀디에서 유세를 마치고 떠나려는 부토 전 총리를 향해 총격을 가한 뒤 폭탄 조끼를 폭발시켜 부토를 사망케했다고 자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년은 비랄을 도운 또 다른 암살단원 가운데 '이크람'이라는 사람도 있었다고 진술했다. 소년이 붙잡힌 것으로 알려진 이슬라마바드 남서쪽 280㎞ 지점의 데라 이스마일 칸 지역의 경찰 간부는 용의자인 소년의 체포사실을 확인하면서 그가 엄청난 사실을 털어놨다고 강조했다. 또 AFP통신도 보안당국 관계자의 말을 인용, 샤는 남부 카라치 출신으로 지난해 메수드의 훈련 캠프에 합류했으며 사건 당일 부토 암살을 실행한 2명이 실패할 경우에 대비한 일종의 예비팀이었다고 전했다. 샤는 또 부토를 공격한 2명의 이름은 '빌랄'과 '이크라물라'라고 털어놓았다. 빌랄과 이크발은 파키스탄 정부가 지난 달 29일 알-카에다를 사건 배후로 지목하면서, 그 증거로 제시한 메수드와 또 다른 무장단체 지도자 몰비 샤히브의 통화 내용 중에 등장했던 인물이다. 당시 공개된 통화 내용에 따르면 메수드는 암살 실행자가 누구냐고 물었고, 샤히브는 '사이드, 빌랄, 바다르 그리고 이크라물라'라고 답했다. 하지만 자베드 이크발 치마 내무부 대변인은 당국자의 주장을 확인해줄 수 없다며 라왈핀디 지역에서 용의자가 체포됐다거나 부토 암살사건 수사가 진전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지 못했다고 부인했다. 한편 파키스탄 내무부는 자체 조사결과를 통해 부토의 사망원인이 총탄이나 폭발물 파편이 아닌 자동차 선루프 손잡이에 부딪힌 충격이었으며, 사건의 배후는 알-카에다의 지시를 받은 메수드라고 밝혔다. 그러나 부토가 총재로 있던 파키스탄인민당(PPP)을 포함한 야당들이 정부측의 주장에 반론을 제기하고, 암살 당시 촬영된 비디오테이프가 잇따라 공개되면서 사망원인과 배후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또 안팎에서 국제사회의 수사 참여 요구가 잇따르자 페르베즈 무샤라프 대통령은 런던 경찰국(스코틀랜드 야드) 반테러 조사팀을 불러들여 수사를 진행중이지만, 아직 새로운 수사 결과는 발표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런던 경찰국의 수사 참여에 반대해온 PPP는 최근 유엔(UN)의 직접적인 수사참여를 요구하고 있다. 김상훈 특파원 meolakim@yna.co.kr (뉴델리=연합뉴스)
이 소년은 비랄을 도운 또 다른 암살단원 가운데 '이크람'이라는 사람도 있었다고 진술했다. 소년이 붙잡힌 것으로 알려진 이슬라마바드 남서쪽 280㎞ 지점의 데라 이스마일 칸 지역의 경찰 간부는 용의자인 소년의 체포사실을 확인하면서 그가 엄청난 사실을 털어놨다고 강조했다. 또 AFP통신도 보안당국 관계자의 말을 인용, 샤는 남부 카라치 출신으로 지난해 메수드의 훈련 캠프에 합류했으며 사건 당일 부토 암살을 실행한 2명이 실패할 경우에 대비한 일종의 예비팀이었다고 전했다. 샤는 또 부토를 공격한 2명의 이름은 '빌랄'과 '이크라물라'라고 털어놓았다. 빌랄과 이크발은 파키스탄 정부가 지난 달 29일 알-카에다를 사건 배후로 지목하면서, 그 증거로 제시한 메수드와 또 다른 무장단체 지도자 몰비 샤히브의 통화 내용 중에 등장했던 인물이다. 당시 공개된 통화 내용에 따르면 메수드는 암살 실행자가 누구냐고 물었고, 샤히브는 '사이드, 빌랄, 바다르 그리고 이크라물라'라고 답했다. 하지만 자베드 이크발 치마 내무부 대변인은 당국자의 주장을 확인해줄 수 없다며 라왈핀디 지역에서 용의자가 체포됐다거나 부토 암살사건 수사가 진전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지 못했다고 부인했다. 한편 파키스탄 내무부는 자체 조사결과를 통해 부토의 사망원인이 총탄이나 폭발물 파편이 아닌 자동차 선루프 손잡이에 부딪힌 충격이었으며, 사건의 배후는 알-카에다의 지시를 받은 메수드라고 밝혔다. 그러나 부토가 총재로 있던 파키스탄인민당(PPP)을 포함한 야당들이 정부측의 주장에 반론을 제기하고, 암살 당시 촬영된 비디오테이프가 잇따라 공개되면서 사망원인과 배후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또 안팎에서 국제사회의 수사 참여 요구가 잇따르자 페르베즈 무샤라프 대통령은 런던 경찰국(스코틀랜드 야드) 반테러 조사팀을 불러들여 수사를 진행중이지만, 아직 새로운 수사 결과는 발표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런던 경찰국의 수사 참여에 반대해온 PPP는 최근 유엔(UN)의 직접적인 수사참여를 요구하고 있다. 김상훈 특파원 meolakim@yna.co.kr (뉴델리=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