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에서 부정선거 의혹으로 촉발된 소요사태로 인해 650여명이 사망한 가운데 이 같은 폭력사태가 우발적인 것이 아니라 종족 갈등을 조장하는 세력에 의해 사전에 계획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1일 인터넷판에서 보도했다.
신문은 선거 이전부터 정부 및 야당 인사들 모두 인종갈등을 부추기는 연설을 공공연히 했었고, 지역의 부족 지도자들도 상대를 공격하기 위해 은밀한 모의를 진행하는 등 소요사태 징후가 미리 감지됐었다는 폭동 참가자 등의 진술을 토대로 이 같이 전했다.
이번 유혈사태의 최대 피해지역인 리프트 밸리 주민 중 상당수는 마을 지도자의 명령에 따라 의도적으로 유혈사태에 참가했다고 밝혔으며 칼렌진족과 마사이족 지도자들도 여당 세력인 키쿠유족을 자신들의 터전에서 몰아내기 위해 선거전 미리 회의를 가졌다고 신문은 보도했다.
주민 로노 키베트는 케냐 대선 결과가 발표되기 전날 밤인 지난해 12월30일 마을 원로가 회의를 소집했으며 그 회의에서 "석유를 사기 위해 돈을 모았다"고 고백하면서 이어 "우리는 사람들(반대파)을 공격했고, 그들의 집을 불태웠으며 그들의 가축을 빼앗았다"고 말했다.
또 비록 여.야가 모두 부인하고 있긴 하지만 선거전 `인종간의 갈등과 폭력을 최후의 수단으로 이용하라'는 야당의 내부 문건이 공개되고 정부 고위 관료의 차량에서 곤봉, 화살 등 다량의 무기가 발견되는 등 이번 유혈사태가 선거 전 미리 계획된 징후가 곳곳에서 포착된다고 신문은 전했다.
한편 케냐에서는 지난 1963년 독립 이후 키쿠유족이 정치와 경제계를 장악하면서 다른 종족들과 지속적인 갈등을 빚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