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옥서 구타 살해…성관계 자백 강요”
정부, 140명 석방 등 무마 나서
정부, 140명 석방 등 무마 나서
지난달 이란 대선의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는 시위를 벌이다 구속된 사람들이 구치소 등에서 심각한 인권유린을 당한 것으로 알려져 이란 안팎의 여론이 들끓고 있다.
테헤란의 카리작 구치소에서 구금됐다는 한 남성은 “움직일 수 없을 정도로 빽빽한 공간에서 교도관들이 들어와 전등을 모두 깨뜨리고 구타를 시작했다. 다음날 적어도 4명이 숨졌다”는 내용의 글을 개혁파 웹사이트에 올렸다고 <뉴욕 타임스>가 28일 전했다. 이 남성이 인권유린을 당했다고 증언한 카리작 구치소는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가 27일 “인권보호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구치소는 폐쇄하라”고 명령한 직후 폐쇄됐다. 개혁파 웹사이트에는 이 밖에도 정치인과 성관계를 가졌다는 내용의 자백을 강요당했다는 여성, 경찰서에서 변기를 핥도록 강요받았다는 남성, 손톱이 뽑혔다는 증언 등이 올라 있다고 <뉴욕 타임스>는 전했다.
또 지난 26일 보수파 대선후보 모흐센 레자이 캠프에서 일했던 수석보좌관의 아들이 교도소에서 당국의 구타로 숨졌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란 정부는 이 사람이 병사했다고 밝혔지만, 개혁파 진영은 감옥에서 살해당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개혁파 진영은 거의 매일 감옥에서 숨진 이들에 대한 소식을 전하고 있다고 <비비시>(BBC) 방송은 전했다.
이란 정부는 인권유린 논란이 거세지고, 일부 보수파 의원들조차 불만을 터뜨리자 28일 테헤란 에빈 구치소에 갇혀 있던 시위자 140명을 풀어주며 무마에 나섰다. 하지만 미르 호세인 무사비 등 개혁파는 당국의 불허에도 불구하고 30일 추모 집회를 강행할 예정이라고 <뉴욕 타임스>는 전했다. 30일은 세계적 분노를 일으킨 이란 여성 네다 아그하솔탄의 사망 40일째를 맞는 날이기도 하다. 정부는 지금까지 대선 시위 이후 숨진 이들이 모두 30명이라고 밝혔지만, 개혁파 진영은 적어도 100명에 이를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