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타히 전 부통령 등 기소돼…미국인 3명 억류
이란 대선 이후 벌어진 시위사태 관련자 100여명에 대한 재판이 1일 처음으로 시작됐다. 1979년 이란혁명 이후 최대 규모의 반체제 인사에 대한 재판이 어떻게 결론날지 주목된다.
이들은 지난 6월12일 대선에서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이 재선된 뒤, 선거부정을 제기하며 대규모 시위를 벌여 국가안보를 위협하고 이슬람 체제전복을 기도한 혐의로 기소됐다. 기소자 중에는 모하마드 알리 압타히 전 부통령, 압돌라 라메잔자데 전 정부 대변인, 모젠 아민자데 전 외무차관 등이 포함됐다. 특히 압타히는 대선 항의시위에서 개혁파를 이끌었던 미르 호세인 무사비 후보의 핵심 측근이다.
검찰은 수집된 증거와 자백 등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외국 세력과 연계해 이슬람 신성체제를 전복시키기 위해 치밀하게 준비했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압타히 전 부통령이 “선거에서 부정은 없었다. 시위를 일으키기 위한 거짓말이었다”고 자백했으며, 라메잔자데 전 정부 대변인은 “선거 부정은 불가능하다”고 털어놨다고 밝혔다. 또 검찰은 소로스연구소, 프리덤하우스, 스탠퍼드대 등 미국 기관들이 이란 지도체제를 무너뜨리기 위해 친무사비 정치인에 돈을 대주고 조정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이란 개혁파 진영은 강요한 자백에 근거한 재판이라고 비난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전했다. 개혁파에 속한 모하마드 하타미 전 이란 대통령은 2일 이번 재판이 “헌법과 일반법, 시민의 권리에 반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무사비는 자신의 홈페이지에 “선거 이후 시위는 외국인과 전혀 연결되지 않았고 이란인들의 권리가 선거에서 침해당했다”며, “신은 위대하다”라고 외치는 옥상시위를 재개할 것을 요청했다. 악바르 하셰미 라프산자니 전문가회의 의장도 이번 재판이 이란 체제를 의심하게 만들었다고 비난했다.
한편, 이란 정부는 1일 이라크 접경 지역에서 국경을 넘어온 미국인 관광객 3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이들의 처리결과도 아마디네자드 2기 체제에서 냉각된 이란과 미국 관계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란 최고 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3일 아마디네자드의 재선을 공식 승인했으며, 아마디네자드는 5일 공식 취임할 예정이다.
김순배 기자 marco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