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왕, 급여인상 등 ‘선심정책’으로 혁명 확산 견제
정치개혁 요구엔 침묵…소규모 시위·캠페인등 ‘고개’
정치개혁 요구엔 침묵…소규모 시위·캠페인등 ‘고개’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이 귀국하자마자 국민들에게 360억달러(약 40조7900억원)어치 선물 보따리를 풀어놓았다. 중동 전역을 휩쓸고 있는 민주화 열풍이 사우디아라비아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한 선심성 정책이라는 평가가 많다.
올해 87살인 압둘라 빈 압둘 아지즈 국왕은 23일 석달 만에 귀국해 수도 리야드에 도착했다. 압둘라 국왕은 미국에서 허리 디스크 수술을 받은 뒤 모로코에서 요양하다가 귀국했으며, 사우디 정부는 국왕의 무사 귀환을 축하하기 위해 오는 26일을 임시 공휴일로 선포했다.
압둘라 국왕은 귀국과 함께 모두 360억달러에 달하는 각종 ‘퍼주기’ 정책을 발표했다고 <에이피>(AP) 통신은 전했다. 주택 구입이나 신축을 희망하는 국민에게 107억달러를 무이자로 대출해주고, 결혼이나 창업자금 40억달러를 빌려줄 예정이다. 공무원 급여는 15% 인상을 명령했다. 학생과 실업자에 대한 재정지원과 경제사범 사면 조처도 발표했다.
압둘라 국왕은 국민들에게 지갑은 열어보였지만 정치개혁안은 내놓지 않았다. 그는 최근 이웃나라 바레인의 하마드 빈 이사 알칼리파 국왕을 만나 시위 수습 방안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이슬람 수니파의 종주국인 사우디에는 주요 원유 생산지대인 동부에 약 200만명의 시아파 무슬림이 살고 있으며, 최근 시아파 다수가 주동이 된 바레인의 시위 사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사우디는 전제왕정국가로, 정당이 없으며 시위와 노조 결성도 금지되어 있다. 사우디는 풍부한 석유자원을 바탕으로 국민들에게 광범위한 복지 혜택을 제공하며 1인당 국민소득이 1만7700달러(2009년 세계은행 통계)로 높아, 반정부 시위 사태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란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사우디에서도 최근 정치·사회적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달 28일 사우디 제2도시 제다에서는 홍수 피해 예방을 위한 상하수도 시설 확충을 촉구하는 시위가 열려 30여명이 체포됐는데, 시위 과정에서 국왕 자문기구인 슈라위원회 위원의 직접 선출을 요구하는 구호가 나오기도 했다. 지난 17일엔 동부 아와미야에서 차별대우에 항의하는 시아파들의 소규모 시위가 열렸다. 인터넷 페이스북에선 다음달 11일을 ‘분노의 날’로 이름 짓고 정권 퇴진 및 통치자 선출과 슈라위원회 위원 선출 등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자는 캠페인이 벌어지고 있다. 국왕에게 의회 개설과 여성 권리 신장 등을 요구하는 내용의 공동 편지를 보낸 인권운동가 40명 중 한 명인 하산 알무스타파(40)는 “우리는 진정한 변화를 원한다. 이번 조처는 왕정을 지키기 위한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바레인과 예멘에선 반정부 시위가 잦아들지 않고 있다. 바레인 정부는 23일 왕정 전복을 기도한 혐의로 수감중인 시아파 정치범 23명을 포함해 모두 308명을 석방했으나, 수도 마나마의 진주광장에서는 수만명이 참석하는 시위가 계속됐다. 예멘 수도 사나에서는 이날 친정부 시위대와 반정부 시위대가 충돌해 최소 1명이 숨지고 12명이 다쳤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