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영, 유엔 인권위 제명 추진
무기금수 등 안보리 제재 논의
무기금수 등 안보리 제재 논의
스위스 정부가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지도자 일가의 스위스 내 재산을 찾아내 동결하기로 했다. 주요국 정부들과 국제기구들도 카다피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스위스 정부는 24일(현지시각) “리비아 독재자의 폭력 사용을 강력히 비난한다”며 카다피 일가의 재산 동결 방침을 밝혔다고 <데페아>(dpa) 통신이 보도했다. 스위스 정부는 카다피와 그 가족의 스위스 내 재산 보유 여부와 규모는 파악되지 않았지만 즉각 확인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카다피의 다섯째 아들 한니발이 2008년 스위스 베른의 고급호텔에서 하녀들을 폭행한 혐의로 체포됐을 때 리비아 정부가 스위스에 있는 자산을 회수하겠다며 반발한 적이 있어, 카다피 일가가 스위스에 재산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위스 정부는 앞서 축출된 자인 엘아비딘 벤알리 전 튀니지 대통령과 호스니 무바라크 전 이집트 대통령 일가의 재산도 동결한다고 밝힌 바 있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는 25일 기자회견에서 “영국도 국제사회에 유엔을 통한 카다피의 재산 동결을 (국제사회에) 압박하겠다”고 말했다. 미국은 재무부를 통해 카다피와 관련된 돈 거래를 정밀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국제사회는 이밖에도 유혈사태를 끝내기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미국·영국·프랑스는 리비아를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제명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은 “리비아 당국의 조직적이고 심각한 인권침해”에 대한 유엔 차원의 조사도 추진하기로 했다.
지난 22일 카다피를 규탄하는 성명을 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5일 회의를 열어 제재 방안을 논의했다. <로이터> 통신은 영국과 프랑스가 안보리에 제재안을 제출했으며, 프랑스의 안에는 무기 금수와 금융 제재가 포함됐다고 전했다.
전날 리비아 사태 불개입 방침을 밝혔던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도 이날 리비아 문제를 논의하는 긴급회의를 소집했다. 이탈리아가 25일 리비아 서남부에 고립된 자국민들을 구조하기 위한 군사작전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고, 리비아 공군의 발을 묶기 위한 비행금지구역 설정 요구도 제기되는 상황이라, 사태 전개에 따라서는 나토가 나설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어 보인다.
이본영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