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개국, UN안보리에 요구
아랍연맹이 12일 리비아에 대한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요구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아랍연맹은 이날 이집트 카이로에서 22개 회원국 외무장관들이 참가하는 비상회의를 열어 이렇게 결정하고 리비아에 대한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요구했다. 아무르 무사 아랍연맹 사무총장은 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비행금지구역은 군사개입이 아닌 리비아 민간인과 외국인들을 보호하기 위한 인도적 조치”라고 말했다. 서방 외교관들은 비행금지구역 설정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투표에 앞서 아랍과 아프리카 국가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말해왔다. 이에 따라 이제 비행금지구역 설정에 대한 결정은 유엔 안보리로 넘어가게 됐다.
미국은 아랍연맹의 결정을 일단 환영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아랍연맹의 결정이) 카다피에 대한 국제사회의 압박과 리비아 국민에 대한 지지를 강화한다”고 평가하면서 “미국은 모든 비상대책을 준비하고 동맹국과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미국은 여전히 비행금지구역 설정의 영향력이 제한적이고 국제사회의 의견도 갈리고 있다며 신중한 자세를 보였다. 로버트 게이츠 미 국방장관은 이날 바레인을 비공식 방문한 뒤 귀국 전용기에 같이 탄 기자들에게 “(비행금지구역 설정은) 정치적 차원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게이츠 장관은 지난주 비행금지구역 설정은 리비아 대공 방어망 폭격 등을 포함하는 주요 군사작전의 하나이며, 자칫 북아프리카와 중동 일대에서 반서방 정서와 역풍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이에 앞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11일 기자회견에서 리비아 상공 비행금지구역 설정과 관련해 “모든 옵션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면서도 “다만 미국의 군사행동에 대해선 비용 대비 이익 균형이 맞아야 하며, 나는 이런 결정들을 가볍게 내리지 않을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조일준 기자 ilj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