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러 합의 안돼…미국 ‘신중’
카다피, 전투기로 반군 압박
카다피, 전투기로 반군 압박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정권의 반군 공습을 차단하기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비행금지구역’ 설정 논의가 공전을 거듭하고 있다.
유엔 안보리는 14일 미국 뉴욕 본부에서 회의를 진행했지만 비행금지구역 설정과 관련된 아무런 합의도 이뤄내지 못했다. 프랑스와 영국은 리비아 상공에 대한 비행금지구역 설정 등을 담은 유엔 안보리 결의 초안을 마련했지만, 러시아가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 탓이다.
중국의 반대 가능성도 전망되고 있다. 또 이날 프랑스 파리에서도 주요 8개국(G8) 외무장관회의가 열려 비행금지구역에 대한 논의를 했으나 역시 별다른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미국이 신중한 입장을 고수해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에서도 합의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국제사회가 카다피를 계속 압박할 것을 촉구했으나, 비행금지구역 설정에 대해선 언급을 피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라르스 뢰케 라스무센 덴마크 총리와 양자회담을 한 뒤 공동회견에서 “정통성을 상실한 카다피는 물러나야 한다”며 “리비아 국민들을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들을 사용하기 위해 유엔 및 나토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비행금지구역 관련 물음에 “테이블에 많은 옵션이 놓여있고, 행정부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만 답했다. 미 국방부의 제프 모렐 대변인은 이날 <엠에스엔비시>(MSNBC) 방송에 나와 “미국은 아직 비행금지구역 설정에 대한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이는 궁극적으로 정치적 결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비행금지구역 설정 논의가 공전을 거듭하는 동안 카다피는 반군을 계속 압박하고 있다. 카다피 친위부대는 14일 전투기를 동원해 반군이 지키고 있는 아즈바디야의 무기저장고를 공습하고 서북단 주와라를 공격했다. 반군은 지난 1주일 사이 카다피군에 밀려 동쪽으로 200㎞가량 퇴각했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