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사 청산 첫걸음
“새 정보기구 곧 창설”
“새 정보기구 곧 창설”
호스니 무바라크 전 대통령의 30년 독재를 몰아낸 이집트가 ‘과거사 청산’의 첫 걸음을 내디뎠다.
이집트 군사 과도정부는 반체제 인사들에 대한 감시와 고문 등으로 악명높았던 국가보안청을 해체한다고 15일 발표했다고 국영 <메나> 통신이 전했다. 과도정부의 만수르 알아사위 내무장관은 국가보안청 지부와 사무실을 폐쇄하고 대신 국가보안대라는 이름의 새 정보기구를 창설하겠다고 밝혔다.
과거 무바라크 체제에서 정권 안보 도구로 활용됐던 국가보안청은 이집트인들의 원성을 사 반정부 시민혁명을 촉발시킨 기폭제가 됐다. 약 2주 전 이집트인들은 전국의 국가보안청 사무실에 불을 질렀으며, 일반인들과 언론인 등을 사찰한 파일들이 발견됐다. 미국은 테러 용의자들을 국가보안청에 넘겨 고문하게 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이집트 최대 야권 그룹인 무슬림형제단 지도자 에삼 엘 에리안은 “우리는 옳은 길을 가고 있다. 하나의 승리에서 또다른 승리로 나가고 있다”며 국가보안청 해체를 환영했다. 카이로를 방문한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은 15일 “국가보안기구 해산 발표를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신설되는 정부기구의 역할에 의구심 속에서 껍데기만 바꾸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고 <뉴욕타임스>는 보도했다. 정부는 성명을 통해 새로 설립되는 국가보안대는 인권 중시 원칙에 따라 운영될 것이고, 국내 안보와 반테러 등의 업무에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집트 과도정부는 오는 19일 헌법 개정 국민투표를 실시하고 올해 안에 대선을 실시할 예정이다. 헌법 개정안에는 대통령 임기를 현행 6년에서 4년으로 줄이고 연임은 한차례로 제한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조일준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