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왕, 입헌군주제 개헌안 제시
다수당에 총리직·사법부 독립
다수당에 총리직·사법부 독립
아랍세계를 휩쓰는 민주개혁 바람에 시달려온 북아프리카의 모로코 국왕이 왕정국가에서 입헌군주제로의 정체 변화를 선언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18일 보도했다.
무함마드(47) 국왕은 17일 텔레비전 연설을 통해 발표한 헌법 개정안에서 정부 수반으로 지위가 격상될 총리에게 각료 등 주요 공직 임면권과 의회 해산권을 주겠다고 밝혔다. 또 현재 국왕이 임명하는 총리 자리는 선거에서 다수 의석을 차지한 정당이 차지할 것이며, 사법부 독립성도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무함마드 국왕은 이런 내용의 개헌안을 다음달 1일 국민투표에 부치기로 했다. 그는 아랍세계에서 가장 긴 400년이라는 왕정 역사를 지닌 모로코가 개헌을 통해 입헌군주제 국가로 변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개헌은 지난 2월부터 주변 국가들의 영향으로 민주개혁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여온 시민들에 대한 국왕의 응답이다. 모로코에서 개헌이 이뤄질 경우 이집트와 튀니지에서와 같은 정권 전복은 아니지만, 다른 왕정 국가들에게 견줘서는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무함마드 국왕은 새 헌법체제 아래에서도 최고안보회의 의장직을 맡아 군 통수권을 쥐고 주지사 임면권 등도 계속 보유하겠다고 밝혔다. 개헌안을 종합적으로 보면 입헌군주제로의 전환이라기보다는 절대왕정과 입헌군주제의 절충에 가깝다. <비비시>(BBC) 방송은 이 때문에 민심 호도용 책략이라는 비판도 나온다고 전했다. 지난 12일에도 수천명 규모의 시위를 주도한 시민 조직 ‘2월20일’은 개혁 요구 시위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이본영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