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글로벌호크
간 나오토 총리 지시…대형재난 투입 목적
일본이 원전사고 등 대형재난 때 투입한다는 목적으로 군사전용이 가능한 일본 독자의 무인정찰기 개발에 본격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방위성은 무인항공기의 본격적인 개발을 위해 제3차 추가경정예산이나 내년도 예산에 올해연도 예산을 크게 웃도는 무인항공기 조사비를 편성한다고 <아사히신문>이 17일 보도했다.
간 나오토 총리가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 때 미군의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로 원전의 상황을 파악한 경험에 따라 독자 개발을 지시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방위성은 2004~2010년도에 걸쳐 약 100억엔을 투입해 다용도의 소형 제트 무인기 개발에 착수해 4기의 시제품을 제작했다. 그러나 비행시험 중 엔진 고장으로 2기가 바닷속으로 추락해서 가라앉는 등 실용화에 실패했다. 올해 예산으로는 조사비 100만엔만을 계상했다. 이번 무인항공기 개발 작업에는 로봇 기술 연구개발 등도 대상에 포함했기 때문에 내년도에는 개발비 금액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알려졌다. 방위성은 당분간 재해파견을 내다보고 개발을 본격화하고 있지만 개발이 궤도에 오르면 장차 군사전용도 노리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일본이 개발에 착수한 무인항공기의 구체적인 성능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군사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고고도에서 각종 전자 레이더와 전자 광학센서 등 적의 주요 기지 등을 수색 감시할 수 있는 첨단 장비를 장착할 것으로 보여 중국과 한국 등 주변국이 크게 긴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군의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는 2001년 미군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투입돼 큰 공을 세웠다.
한국 군당국은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이후 한국군이 북한 지역을 정찰, 감시하기 위한 핵심전력으로 글로벌호크 도입을 추진중이다.
20㎞ 상공에서 지상 30㎝ 크기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첩보위성급 전략무기로, 작전반경이 3000㎞나 돼 한 대를 띄우면 한반도 전역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특히 군당국은 천안함, 연평도 사건 이후 군이 내세운 적극적 대북 억제전략에 따라 북한의 공격을 조기에 무력화하기 위해서는 고고도 무인정찰기가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다.
이에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3월8일 ‘국방개혁 307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례적으로 글로벌호크라는 특정 기종을 거론하며 “2015년 이전에 반드시 도입해 전력화하겠다”며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그러나 미국은 국방예산 감축에 따른 수요감소를 이유로 최근 가격을 두배나 높게 불러 도입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도형 선임기자/트위터 @aip209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