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19명 등 포함
“실정 물타기” 분석도
“실정 물타기” 분석도
이집트 당국이 미국인 19명을 포함한 비정부기구(NGO)와 시민단체 활동가, 직원 등 43명을 카이로 형사법원에 넘겨 미국과 이집트 사이에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이집트 당국은 이집트 정부의 허가없이 국제기구 지사를 설립하고 불법적으로 외국자금을 받은 혐의로 미국인 19명, 세르비아인 5명, 독일인 2명 등을 5일 기소했다. 앞서, 이집트 검찰은 지난달 외국의 내정간섭을 조사하겠다는 명목으로 국내에 주재하는 엔지오 10개 단체 17곳의 사무실을 압수수색하고 미국인 6명 등 외국 엔지오 관계자 10명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를 내렸다. 이들 가운데는 레이 러후드 미 교통부장관의 아들도 포함돼 있다. 이들은 3년에서 7년형을 받을 수 있다고 <에이피>(AP) 통신 등은 전했다.
이집트 당국의 기소 조처는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이 지난 4일 압수수색 조처 등에 불만을 표시하며 이집트 원조를 재검토할 것이라고 경고한 지 하루 만에 나온 것이다. 미 의회에서는 이집트의 엔지오 활동 방해를 이유로 1979년부터 이어 온 연간 평균 20억달러에 이르는 미국의 이집트 원조를 삭감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왔다. 미국은 올해도 이집트에 군사 원조로 13억달러, 경제 원조로 2억5000만달러를 제공할 예정이었다. 빅토리아 뉼런드 국무부 대변인도 5일 이집트 정부의 기소 조처에 대해 “우리는 분명한 해명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무함마드 아므르 이집트 외무장관은 “정부는 사법부의 판단에 어떤 영향력도 행사할 수 없다”고 말해, 미국의 요구를 사실상 거절했다.
이집트에서 활동하는 외국 시민단체들은 법적으로 이집트 외교부에 등록해야 하며, 또 외국으로부터 기금을 받으려면 사회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이집트 당국의 이번 조처가 법적으로는 큰 하자가 없다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현시점에서 왜 이런 조처를 내리는지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설명이 부족하다. 서구 언론들은 이집트 당국의 이번 조처가 최근 74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축구장 난동 사태 등과 관련해 거센 비판에 직면한 이집트 군부가 민족주의를 자극해 국내의 관심을 분산시키려는 의도를 지닌 것으로 보고 있다. 이집트의 인권 활동가인 바히 에딘 하산은 <에이피>(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군부는 지난해 2월 정권 이양 이후 계속된 혼란과 실패를 덮기 위한 희생양을 찾고 있다”고 주장했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아무리 군인이라지만 너무 치욕스럽다는 생각을…”
■ "MBC뉴스 아무개입니다" 빼버리고 싶었습니다
■ 문재인 지지율, 박근혜 앞섰다
■ 조국 “민주당, 자신감 넘어 오만해지고 있다”
■ ‘나체 결혼식’ 취재 조건, 신부와의…
■ “아무리 군인이라지만 너무 치욕스럽다는 생각을…”
■ "MBC뉴스 아무개입니다" 빼버리고 싶었습니다
■ 문재인 지지율, 박근혜 앞섰다
■ 조국 “민주당, 자신감 넘어 오만해지고 있다”
■ ‘나체 결혼식’ 취재 조건, 신부와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