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 강력비난 성명
오바마, 아사드 축출 움직임
오바마, 아사드 축출 움직임
유엔이 27일 ‘훌라 학살’에 대해 강력하게 비난하는 성명을 15개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 만장일치로 채택해 발표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휴일인 이날 긴급이사회를 열어 시리아 정부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비난하는 성명을 채택했다. 성명은 이번 학살이 “주거지에 대한 일련의 정부 쪽 대포 및 탱크 포격과 관련돼 있다”며 바샤르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에게 해당 지역의 중화기 철수를 촉구했다. 또 성명은 “폭력행위를 자행한 자들은 책임을 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리아의 동맹국인 러시아는 성명 채택을 거부하다 현지 감시단의 설명을 들은 뒤 태도를 바꿨다. 하지만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이날 모스크바에서 열린 윌리엄 헤이그 영국 외무장관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정부와 반군) 양쪽이 무고한 사람들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며 반군의 일부 책임론을 제기했다.
‘시리아 평화중재안’을 내놨던 코피 아난 특사도 이날 시리아에 도착해 사태 수습에 나섰다. 그는 아사드와 “심각한” 논의를 약속하는 한편, “총을 가진 모든 사람들”에게 폭력을 중단하라는 메시지를 가지고 왔다고 밝혔다.
시리아 현지에 파견된 유엔감시단 단장인 로베르트 모드 소장은 안보리 회의에 이번 학살로 어린이 49명 등 모두 108명이 목숨을 잃고 300명이 다쳤다고 보고했다. 성명이 채택된 27일에도 시리아 중부 하마에선 정부의 공격으로 어린이 7명 등 33명이 숨졌다는 주장이 해외의 시리아인권단체로부터 제기됐다.
<뉴욕 타임스>는 훌라 학살을 계기로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가 아사드 대통령 축출 프로그램을 재가동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지난 2월 유혈사태를 빚었던 예멘의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이 권력을 이양하고 물러나는 대신 살레 대통령과 측근들의 신변안전을 약속받았던 방식이 거론된다. 오바마는 다음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를 심도있게 논의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진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막말 오가던 삼성가, 유산소송 앞 잠잠해진 까닭은?
■ 천안함 논란까지 싸잡아…MB, 종북비판 숟가락 얹기
■ 레이디 가가의 파격, 아시아 금기에 막히다
■ 징용피해자 ‘강제저금’ 일본 은행서 잠잔다
■ [성한용 칼럼] 안철수 대통령은 없다
■ 막말 오가던 삼성가, 유산소송 앞 잠잠해진 까닭은?
■ 천안함 논란까지 싸잡아…MB, 종북비판 숟가락 얹기
■ 레이디 가가의 파격, 아시아 금기에 막히다
■ 징용피해자 ‘강제저금’ 일본 은행서 잠잔다
■ [성한용 칼럼] 안철수 대통령은 없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