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실질적 대화” 제안에
이란 “진전된 조처…긍정적 검토”
다자회의 참석도 수용 의지 밝혀
무기급 우라늄 개발 차단에 촉각
북핵 문제에 영향 미칠지도 관심
이란 “진전된 조처…긍정적 검토”
다자회의 참석도 수용 의지 밝혀
무기급 우라늄 개발 차단에 촉각
북핵 문제에 영향 미칠지도 관심
존 케리 국무장관의 취임으로 가동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2기 외교팀이 이란 핵 문제와 관련해 직접대화를 제안하는 등 외교개입을 강화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 교착상태에 빠졌던 이란 핵 개발과 관련한 대화는 미국과의 직접대화 제안을 계기로 조만간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알리 아크바르 살레히 이란 외무장관은 3일 이란 핵문제와 관련해 미국과의 직접대화라는 새로운 제안을 “진전된 조처”라며 “긍정적으로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25일 카자흐스탄에서 이란 핵문제와 관련한 다자간 협상을 하자는 유럽연합 쪽의 제의에 대해 “좋은 소식”이라며 수용할 뜻을 비쳤다.
전날 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은 뮌헨안보회의에서 이란과의 직접대화를 제안했다. 그는 “이란 최고지도자가 진지하다면” 워싱턴은 이란과의 양자대화가 준비됐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이 대화 제안은 실질적이고 가시적이어야만 하고, 이란 쪽이 말할 준비가 되어있어야만 할 것이다. 우리는 대화만을 위한 직접대화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직접대화를 할 경우, 미국과 이란 양쪽 모두가 문제해결에 나설 자세가 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이란은 지난 2009년 이후 자국의 핵개발 문제와 관련한 국제다자대화 틀인 ‘피(P)5+1’(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 5개국+독일) 대화에서 미국과 개별적으로 만나는 것을 거부해왔다. 특히 이란은 지난 6월 모스크바 회의에서 자국의 농축우라늄 개발 철폐와 관련한 실질적 대화의 전제조건으로 자신들에 대한 모든 제재 해제를 요구한 이후 대화에 응하지 않고 있다. 국제다자회의는 지난 12월, 1월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장소와 시간 등을 놓고 이란을 거부해왔다.
국제다자회의를 조율해온 캐서린 애쉬턴 외교정책관의 대변인 마이클 만은 이란 외무장관이 국제다자회의 개최를 확인했다며 곧 대화가 재개될 것임을 시사했다. 카자흐스탄 국제다자회의가 개최되면, 미국과 이란은 일단 이 대화 틀에서 양자대화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문가들은 오는 6월 이란의 새 대통령이 선출된 뒤에 열릴 테헤란과 워싱턴의 양자대화가 이란 핵문제를 해결할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취임 청문회 때 이란 핵문제 해결을 최우선 사항으로 내건 존 케리 신임 국무장관은 이란과의 대치를 해소하기 위한 모든 외교적 기회를 이용하겠다고 다짐하고 있다. 케리 국무장관은 취임 전부터 이란 핵문제와 관련한 양자대화를 주장한 바 있다.
바이든 부통령이 이란과의 직접대화 조건으로 ‘이란 최고지도자가 진지하다면’이라는 것을 내건 것도, 이란 핵문제의 실질적 책임자인 아야툴라 알리 하메네이 최고 지도자 쪽과의 접촉도 고려하고 있음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이란 핵문제에서 실질적 대화 파트너는 알리 하메네이의 ‘개인적 대리인’으로 지명된 사에드 잘릴리이다.
이란은 지난주 진전된 우라늄 농축기의 설치와 가동을 발표해, 무기급 농축 우라늄 개발이 임박했다는 국제적 우려를 자아냈다. 일촉즉발의 대치상황으로 치닫던 이란 핵개발 문제를 놓고 미국과 이란의 양자대화 등 국제대화가 성사된다면, 현재 대화창구가 모두 봉쇄된 북핵문제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삼성 사망자 기도서 수포”…다량의 불산에 노출된 듯
■ 북 핵실험 갱도가 ‘망치 모양’인 이유
■ 당선인 복심 이정현, 청문회 비판 가세
■ ‘달덩이 얼굴’ 부기 빼려면…? 노하우 공유 사이트에 물어봐!
■ 피곤한 간 때문에 먹는 약, 사실은 소화제였다?
■ “삼성 사망자 기도서 수포”…다량의 불산에 노출된 듯
■ 북 핵실험 갱도가 ‘망치 모양’인 이유
■ 당선인 복심 이정현, 청문회 비판 가세
■ ‘달덩이 얼굴’ 부기 빼려면…? 노하우 공유 사이트에 물어봐!
■ 피곤한 간 때문에 먹는 약, 사실은 소화제였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