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파갈등 봉합 난항…시한 1주 늦춰
WP “미국 정부의 이라크 통제력 상실”
연일 계속된 밤샘협상도, 미국의 압박도 이라크 종파들 사이의 깊은 골을 메울 수는 없었다.
이라크 헌법초안위원회가 애초 마감 시한이었던 15일 자정을 20분 남기고도 헌법초안에 합의하지 못하자 이라크 의회는 마감시한을 22일로 1주일 늦추기로 결의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헌법초안위원회에 참석한 시아파와 수니파, 쿠르드족 등 각 민족·종파 대표들은 북부와 남부에 자치권을 주는 연방제 도입과 이라크의 막대한 원유수입 배분, 이슬람의 정치적 역할 등 주요 쟁점(<한겨레> 15일치 8면)에 대해 밀고 당기는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에 실패했다.
<에이피통신>은 쟁점들은 각 세력의 이권이 크게 걸린 첨예한 문제들이어서 헌법안이 급하게 합의된다고 하더라도 분열이 봉합될 것 같지는 않다고 전했다.
연방제와 쿠르드족 권리에 대해 쿠르드족은 8년 뒤 이라크로부터 독립한다는 조항을 명시해야 한다고 요구했으나 시아파는 지금 당장 독립할지를 결정하라고 맞섰다. 연방제가 도입되면 석유 이권에서 소외될 것으로 예상되는 수니파는 ‘연방제가 도입되면 이라크는 끝장’이라며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하고 있다.
원유 수입도 인구 수에 따라 전국에 고루 배분하기로 했다가 시아파가 더 많은 지분을 요구해 결렬된 것으로 알려졌다. 유전지대 키르쿠크를 쿠르드 지역에 편입시켜야 한다는 쿠르드족의 강경한 요구도 쿠르드 독립국가 수립과 맞물려 난제로 남아 있다.
미국 언론들은 일제히 이번 사태는 새 헌법을 내세워 이라크 상황이 나아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던 부시 미 행정부에 또다른 타격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16일 미국 정부가 이라크 상황에 대한 통제를 상실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태라고 지적했다.
이번 협상에 깊이 개입했던 잘마이 칼릴자드 이라크 주재 미국 대사는 15일 협상이 끝내 결렬되자 기자들의 질문에 대답하지 않은 채 의회를 빠져나갔다.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은 16일 휴가 중인 크로퍼드 목장에서 성명을 발표해 “이라크 헌법초안 작성자들이 실질적 진전을 이루고 있다”며 “그들은 오늘 이후에도 문구를 다듬고 합의를 이루려는 작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충격파를 줄이기 위해 나섰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