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자지라 ‘미국 영향력 실태’ 보도
국무부 예산으로 친서방 인사 양성
반정부 폭력시위 교육·선동 지원도
미, 이집트 군부도 계속 원조키로
국무부 예산으로 친서방 인사 양성
반정부 폭력시위 교육·선동 지원도
미, 이집트 군부도 계속 원조키로
이집트 군부의 무함마드 무르시 대통령 축출 사태와 관련해 미국 정부는 “어느 쪽도 편들지 않겠다”며 중립적인 모양새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달러’는 절대 중립적이지 않았다.
<알자지라>는 10일 미 정부가 ‘민주주의 수호’라는 미명 아래 매년 수억달러를 들여 이집트에서 친서방 인사들을 길러왔고 이들 상당수가 이번에 무르시 대통령을 축출한 세력에 속해 있다고 보도했다. 이 방송은 미국 버클리캘리포니아대학의 탐사보도프로그램에서 입수한 미 연방정부 문서를 통해 이런 사실을 밝혔다. 미국이 친미 이집트인들을 양성하는 과정은 이렇다. 미 정부는 매년 국무부 예산을 통해 중동파트너십계획(MEPI), 미국국제개발처(USAID), 민주주의재단(NED)에 자금을 지원하고, 이 돈은 다시 국제공화주의연구소(IRI), 민주주의연구소(NDI), 프리덤하우스 같은 기관에 지급되며, 이는 다시 이집트의 특정 조직과 단체에게 전달된다.
미 정부가 이집트를 비롯해 중동 국가들에게 이처럼 미국 시민들의 세금을 퍼주는 이유는, 미 정부에 대한 적대감을 약화시킬 뿐 아니라 2011년 ‘아랍의 봄’ 이후 서방에 우호적인 세속주의자들의 영향력이 위축되지 않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다. <알자지라>는 이런 돈은 주로 무르시 축출 과정에서 폭력을 선동하고 음모를 꾸민 인사나 단체에게 전달됐는데, 이는 정치세력이 외국 기관으로부터 후원금을 받는 것을 금지하는 이집트법과, 세금을 해외에서 정치자금으로 쓰지 못하도록 하는 미 정부 규정에 위배될 수 있다고 짚었다.
미 정부 예산이 민주주의나 평화와 상관 없는 사람들에게 낭비된 사례가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현재 미국에 망명중인 이집트의 전 경찰 간부 우마르 아피피 술리만은 ‘국민의 권리’라는 ‘1인 단체’를 꾸려 2009년부터 민주주의재단으로부터 12만달러를 받았다. 그는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반무르시 시위대에게 무릎 타격·버스 방화·화염병 투척법 등 효과적인 폭력 행사 방법을 가르쳐왔다. 야권 시민단체 세력의 연합체인 ‘구국전선’ 소속 인사들도 미 정부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이집트 민주주의 아카데미’라는 조직을 운영하는 이스라 압둘파타흐는 지난해 무르시의 헌법 개정에 반대하며 모스크를 점령하고 성직자들을 끌어내라고 선동한 ‘페이스북 걸’로 유명하다. 그 역시 2011년 미 정부로부터 7만5000달러를 받았다. <알자지라>는 “미국의 이런 자금 지원은 인권과 민주주의를 위한 것이 아니라 돈으로 영향력을 구매하는 것”이라고 짚었다.
한편, 미 정부는 다음달 F-16 전투기 4대를 전달하기로 하는 등 이집트 군부에 대한 지원을 계속하기로 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10일 보도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미 정부는 이집트에 대한 원조 프로그램을 급하게 변경해선 안된다”며 “무르시 축출이 쿠데타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MB 실정’ 발목 잡힐라…박 대통령 ‘4대강 선긋기’
■ ‘용인 엽기 살인 피의자’는 사이코패스?…SNS에 남긴 글 보니
■ “태어나지 말았어야…” 홍익표 민주당 대변인, 박 대통령 인신공격 파문
■ ‘미스터’ 시절의 카라, 다시 보고 싶다
■ [화보] 비에 젖어 더 빛나는 태백산 야생화
■ ‘MB 실정’ 발목 잡힐라…박 대통령 ‘4대강 선긋기’
■ ‘용인 엽기 살인 피의자’는 사이코패스?…SNS에 남긴 글 보니
■ “태어나지 말았어야…” 홍익표 민주당 대변인, 박 대통령 인신공격 파문
■ ‘미스터’ 시절의 카라, 다시 보고 싶다
■ [화보] 비에 젖어 더 빛나는 태백산 야생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