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중동·아프리카

모스크 잃은 난민들, 교회 십자가 앞에서 ‘이슬람식’ 기도

등록 2014-07-28 20:47

26일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그리스정교 예배당인 성 포르피리오스 교회의 예수 성화 앞에 이슬람 교도인 일가족이 이스라엘군의 공습을 피해 머물고 있다. 가자/김상훈 교수
26일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그리스정교 예배당인 성 포르피리오스 교회의 예수 성화 앞에 이슬람 교도인 일가족이 이스라엘군의 공습을 피해 머물고 있다. 가자/김상훈 교수
르포 울부짖는 가자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가장 유서 깊은 지역 중 한 곳인 가자시티 자이툰 구역에는 그리스정교 예배당인 성 포르피리오스 교회가 15세기 이래 근처 윌라야 모스크와 나란히 공존하고 있다.

이스라엘군의 공격으로 팔레스타인 사망자가 1100명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300명이 넘는 난민들이 죽음의 공포를 피해 이 교회를 피난처로 삼았다. 샤자이야에서 교사로 일하던 마흐무드 아부 제흐라의 대가족 22명도 이곳에 머물고 있다. 샤자이야는 얼마 전 이스라엘의 대규모 폭격으로 마을 한곳에서만 70명 넘게 목숨을 잃은 곳이다. 마흐무드는 “잠깐 임시휴전이 된 동안 우리 가족은 겨우 샤자이야를 빠져나와 여기로 왔다. 우리 집은 이스라엘 전차포에 파괴됐다. 온 가족이 무사한 것은 알라 덕분이다. 기독교 교회에 들어와본 것은 난생처음이다. 하지만 그런 것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우리는 다 같은 팔레스타인인이다”라고 말했다.

피난민 수가 급증하자 이 교회는 문을 활짝 열어 난민을 맞이했다. 알렉시오스 대주교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교회 문을 열었다.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는 것은 교회의 의무다. 종교가 같고 다름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대주교는 “사람들은 모스크보다는 이곳이 안전하다고 느낀다. 이미 많은 모스크들이 폭격에 부서졌기 때문이다. 왜 이스라엘이 그런 짓을 하는지 누가 알겠는가”라고 했다.

가자지구에는 약 1400명(정교회, 가톨릭, 개신교 포함)의 기독교인이 있다. 전체 인구 180만명 중 99.9% 이상이 무슬림이고 기독교인은 0.1%도 안 된다. 하지만 407년에 세워져 1600년 넘게 신앙을 지켜온 성 포르피리오스 교회처럼 무슬림과 기독교인은 이곳에서 오랫동안 공존해왔다.

이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하마스가 임시휴전을 한 사이 팔레스타인 피난민들이 잠시 가자지구 북부 베이트하눈의 집으로 돌아가 폭격으로 무너진 건물 잔해를 헤치며 가재도구를 챙기고 있다. 가자/김상훈 교수
이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하마스가 임시휴전을 한 사이 팔레스타인 피난민들이 잠시 가자지구 북부 베이트하눈의 집으로 돌아가 폭격으로 무너진 건물 잔해를 헤치며 가재도구를 챙기고 있다. 가자/김상훈 교수

유엔 대피소도 이미 포화상태
난민 300여명 임시휴전 틈타
그리스정교 예배당으로 피신
대주교 “난민 돕는건 교회의 의무”

26일 교회의 작은 마당에서 아이들은 뛰어놀고 건물 안 예수 성화 아래에선 히잡을 쓴 무슬림 여인들이 평화롭게 잠을 청하거나 아기를 돌보고 있었다. 기도시간이 되자 십자가가 그려진 문 앞에서 이슬람식 기도를 하는 난민들도 보였다. 며칠 전 근처에 폭탄이 떨어져 교회에 파편이 날아든 적도 있고 간간이 곳곳에서 폭발음이 들려오고 있지만, 이스라엘군이 교회 건물에 직격탄을 쏘지는 않을 것이라는 믿음으로 애써 마음의 평화를 지키고 있었다. 하지만 좁은 교회 안에 너무 많은 피난민이 몰려든데다 갓난아기를 비롯한 어린이들을 먹일 식량 등도 충분하지 않아 안타까운 상황이다. 유엔이 운영하는 임시대피소 70여곳도 이미 10만명이 넘은 난민으로 한계점에 다다랐고, 최근엔 그중 한 곳이 폭격을 받아 16명이 숨지기도 했다.

많은 이들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그리고 중동과 서구의 끊임없는 갈등이 종교 때문이라고 여긴다. 하지만 ‘한 손에는 코란(꾸란), 한 손에는 칼’이라는 문구로 대표되는, 이슬람교가 폭력적으로 타 종교를 배척한다는 편견은 오해다. 코란의 2장에는 “종교에는 강요가 없나니”라는 구절이 있고, 지금까지 중동을 여러 번 취재하는 동안 나에게 강압적으로 이슬람교를 강요하는 무슬림은 한명도 없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의 근원은 석유 패권과 관련된 서구의 중동 정책과 유대민족주의 등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전쟁의 비극 속에서 진정한 종교적 화해가 이뤄지고 있는 성 포르피리오스 교회에서, 종교를 내세우며 학살을 거듭하고 있는 역설을 가슴 아프게 고민하게 된다.

김상훈 강원대 교수·사진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