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심분리기 축소 두고 대립 팽팽
경제제재 해제 시기도 견해차
경제제재 해제 시기도 견해차
이란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독일(P5+1)이 핵 협상 시한을 코앞에 두고 ‘상당한 진전’을 이루며 협상 시한을 다시 내년 7월로 연장했다고 24일 외신들이 전했다.
필립 해먼드 영국 외무장관은 이날 이란과 안보리 상임이사국·독일이 내년 7월까지 이란 핵 협상의 최종 타결을 목표로 시한을 연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해먼드 외무장관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막판 협상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며 석달 안에 “대략적인 합의” 도출에 동의했다고 <로이터> 통신 등 외신이 보도했다. 또 일부 금융제재를 풀어 이란이 잠정적으로 매달 7억달러(약 7794억원) 상당의 동결 자산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국무부 고위관계자는 23일 “기한 연장은 여러 가지 선택 사항 중 하나”라며 “우리의 목표는 합의를 도출하는 것에 맞춰져 있지만, 마감이 24시간가량 남은 상황에서 여러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란 언론도 익명의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24일까지 협상을 마무리 짓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보도를 내놨다.
이란 핵 협상이 그동안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원인은 이란의 우라늄 농축을 둘러싼 의견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미국은 핵무기 제조에 쓸 수 있는 고농축 우라늄을 더이상 추출하지 못하도록 이란에 원심분리기를 대폭 줄이라고 요구해왔다. 이란은 원자로 연료 등 평화적 목적으로만 쓸 계획이라며 원심분리기 축소를 거부하고 있다.
또 다른 쟁점은 국제사회의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 해제 시기와 방법에 대한 견해 차이다. 이란은 국제사회에 즉각적이고 영구적인 경제제재 해제를 요구하고 있지만, 미국은 ‘단계적 해제’ 방안을 고수해왔다.
이런 간극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이란은 모두 협상 결렬 가능성은 배제해왔다. 오바마 대통령은 중간선거 패배 이후 입지가 좁아진 상황에서 공화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공들여온 이란 핵 협상을 매듭짓지 못할 경우 큰 타격이 예상됐다. 이란도 금융제재 등 서방의 경제제재로 인해 심각한 경제난을 겪고 있어, 제재 해제가 절실한 상황이다.
지난해 11월24일 이란과 안보리 상임이사국·독일은 이란의 핵 물질과 시설 일부를 해체하는 대신 경제제재를 일부 해제하는 잠정합의를 이룬 뒤 1년 동안 협상을 진행해 왔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