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 잉태한 슬픔 17일 라마디에서 열린 미군 폭격 희생자들의 장례식에서 친척들이 울부짖고 있다. 미군은 15일 라마디 근처 마을 두곳에서 전투기와 헬기를 동원한 폭격으로 저항세력 70명을 살해했다고 밝혔으나, 목격자들은 이 가운데 최소 39명은 민간인이라고 말한다. 라마디/AP 연합
이라크 라마디서 저항세력 토벌전
“70여명중 여성·어린이 최소 39명”
미군이 이라크 서부에서 벌이고 있는 대규모 ‘저항세력 소탕작전’ 희생자의 상당수가 민간인들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라크 헌법 국민투표가 치러진 15일 미군은 서부 안바르주의 주도인 라마디 근처 마을 두곳에서 전투기와 헬기를 동원한 미사일 공습을 벌여 “무장세력 70여명을 사살했다”고 16일 발표했다. 그러나 목격자들과 의료진들은 <에이피통신> 등에 사망자중 최소 39명은 민간인이라고 말했다. 병원으로 실려온 부상자들 가운데는 여성과 어린이도 많다고 전했다.
미군이 폭탄을 땅에 묻고 있던 저항세력을 사살했다고 밝힌 데 대해 이 지역 부족 지도자인 치아드 사드는 <가디언>에 “숨진 사람들은 전날 미군 5명이 숨진 현장에서 잔해를 구경하거나 쇠붙이를 주워가려던 이들”이라고 말했다.
미군은 외국인 테러리스트들이 안바르주의 도시들을 근거로 활동하고 있다며 지난 2일부터 라마디, 카임 등에서 ‘강철주먹’이라는 저항세력 소탕작전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민간인 피해가 커지면서 라마디가 ‘제2의 팔루자’가 되고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미군의 두차례에 걸친 저항세력 소탕작전 결과, 인구 30만명의 팔루자는 주민 90%가 떠나 폐허의 도시가 되고 말았다.
한편, 장 지글러 유엔 식량인권 특별보고관은 15일 미군이 저항세력 거점을 공격하기 전 주민들을 소개시키기 위해 식량과 물을 차단하는 등 “민간인 굶기기를 전술로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27일 유엔총회에서 이 문제를 보고한 뒤 비난 결의안을 채택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