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푸틴 통화 “적대행위 중단”
27일부터 돌입…감시 핫라인 설치
IS·알카에다·누스라전선 등은 제외
휴전으로 이어질지는 여전히 회의적
27일부터 돌입…감시 핫라인 설치
IS·알카에다·누스라전선 등은 제외
휴전으로 이어질지는 여전히 회의적
미·러의 새로운 휴전 협정이 시리아 문제 해결에 분기점이 될 수 있을까?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2일 전화통화에서 ‘시리아에서의 적대행위 중단’에 합의했다고 미국과 러시아 정부 쪽이 밝혔다. 양쪽은 26일 정오까지 시리아 정부군과 반군 등 주요 단체에 휴전 참여 여부를 확인하고, 27일부터 휴전에 들어가기로 합의했다. 또 휴전이 발효된 뒤에는 시리아에서 합의안을 위반하는 행위를 감시할 핫라인도 설치하기로 했다. 이번 합의는 시리아 정부군과 반군을 포함해 휴전 조건을 받아들이겠다는 뜻을 밝힌 내전 당사자들에게 적용되지만,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와 알카에다의 시리아 조직인 누스라전선 등은 제외됐다.
미·러의 발표 뒤 시리아 반정부군 대표단인 ‘최고협상위원회’(HNC)는 성명을 내 이번 합의를 조건부 수용하겠다고 했다. 시리아 정부는 아직 수용 여부를 밝히지 않았지만, 오는 4월13일 총선을 치르겠다고 발표하며 긍정적 신호를 보냈다.
미·러 정상이 직접 나서 의지를 보였지만, 이번 합의가 실제 휴전으로 이어질지는 대해선 여전히 회의적인 견해가 많다. 5년 가까이 이어진 시리아 내전은 러시아가 바샤르 아사드 정권을 지원하고, 서방 국가가 반군을 지원하면서 자연스럽게 대리전으로 변질됐다. 또 중동 나라들이 종파에 따라 정부군과 반군을 각각 지원하고 있으며, 시리아 북부에서는 쿠르드족과 터키가 충돌하고 있다. 여러 세력의 이해가 얽히고설켜 있어 휴전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테러 등 유혈사태가 이어지고 있는 것도 휴전을 어렵게 한다. 지난 11일 뮌헨 안보회의에서 미·러를 비롯한 17개국이 ‘적대행위 중단’에 합의한 지 나흘만에 국경없는의사회가 지원하던 병원이 러시아군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공습을 받았다. 지난 주말에는 홈스와 다마스쿠스에서 연쇄 폭탄 테러가 일어나 하룻새 140여명이 숨졌다. 싱크탱크인 대서양위원회의 프레드릭 호프 선임연구원은 <뉴욕 타임스>에 “러시아는 이번 협상으로 누스라전선을 핑계삼아 시리아를 공격할 수 있는 5일을 더 얻은 것일 뿐”이라며 “이번 협상은 절대적으로 러시아와 이란, 아사드 정권의 선의에 달려 있는데, 이들 중 그 누구도 지난 5년간 선의를 보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유엔이 중재하는 시리아 평화협상은 오는 25일 재개될 예정이다.
황금비 기자 withb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