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장 없는 구금 등 허용
반정부 시위 충돌로 수십명 사상
소수 부족 권력독점에 반발
외국자본 매각 토지 수용에 불만
반정부 시위 충돌로 수십명 사상
소수 부족 권력독점에 반발
외국자본 매각 토지 수용에 불만
이달 초 경찰의 반정부 시위 진압 과정에서 최소 55명이 숨진 에티오피아에서 정부가 6개월 동안의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하이을러마리얌 더살런 에티오피아 총리는 9일 발표한 성명에서 “정부기관과 법원, 사회기반시설, 의료와 교육시설이 파괴됐다”며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에티오피아에서 비상사태 선포는 25년 만에 처음이다. 더살런 총리는 영장 없이 구금과 압수수색을 할 수 있으며, 비상사태 포고령을 어기는 사람은 징역 5년형에 처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일 수도 아디스아바바 남동쪽 비쇼프투에서 에티오피아 최대 부족인 오로모족이 반정부 시위를 벌이다 경찰의 강경진압 과정에서 최소 55명이 압사했다. 인권단체인 휴먼라이츠워치는 지난해 11월 이후 반정부 시위를 벌이다 숨진 이들이 500명 이상이라고 추정했다.
오로모족 반정부 시위는 정부가 외국자본에 토지를 매각하는 일이 계기였다. 에티오피아는 1983~85년 내전과 대기근으로 50만명이 숨지기도 했지만, 최근 몇년 동안 경제적으로 눈부신 성장을 했다. 농업 생산량은 최근 10여년간 3배, 국내총생산(GDP)은 6년 만에 2배 넘게 증가했다.
하지만 성장의 그늘이 있었다. 정부는 경제성장을 위해 외국자본에 국내 알짜배기 토지를 싼값에 팔아왔다고 <알자지라>는 전했다. 외국기업 투자 유치를 위해 토지를 지역민들에게 헐값에 수용한 뒤, 쫓겨난 지역민들을 정부가 특정 장소에 한꺼번에 몰아넣는 정책이 가장 큰 반발을 불렀다고 <알자지라>는 전했다.
토지 수용 문제로 촉발된 에티오피아 국민들의 분노는 민주화 요구로 번지고 있다. 여당인 에티오피아국민혁명민주전선은 외형적으론 여러 부족이 참여하는 형태지만 주도권은 북부 티그레족 반군 단체였던 티그레국민해방전선이 쥐고 있다. 에티오피아 인구 중 오로모족은 3분의 1을 차지하지만 티그레족은 6% 남짓에 불과하다. 지난 2015년 총선 이후 에티오피아에서는 야당 의원이 한명도 없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