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바브웨 시민들이 21일 밤 수도 하라레 거리로 나와 국기를 흔들면서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의 퇴진을 기뻐하고 있다. 하라레/AP 연합뉴스
로버트 무가베(93) 짐바브웨 대통령의 37년 독재가 막을 내렸다.
<아에프페>(AFP) 통신은 21일 오후 제이컵 무덴다 짐바브웨 의회 의장이 국영 텔레비전으로 중계된 연설에서 무가베 대통령의 사임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무가베 대통령은 사임서에서 “헌법 96조에 따라 사임서를 제출한다”며 “순조로운 권력 이양을 위해 즉각적이고 자발적으로 사퇴한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의 권력을 아내 그레이스 무가베(52)에게 세습하려다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와 정치권의 탄핵 압박을 받아왔다.
무가베가 사임함에 따라 이날 집권당인 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동맹 애국전선(ZANU-PF) 주도로 개시된 무가베 대통령의 탄핵 절차도 바로 중단됐다. 대통령 사임이 발표되기 직전 집권당은 의회를 열고 탄핵 안건을 발의했다. 당 관계자는 “에머슨 음낭가과(75) 전 부통령이 무가베 대통령의 후임자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시몬 카야 모요 당 대변인은 “의회가 무가베 대통령의 사임을 발표한 후 48시간 이내 음낭가과 전 부통령이 대통령 취임 선서를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의장의 발표가 나오자 의원들은 소리를 지르며 기뻐했고, 수도 하라레에서는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춤을 추고 국기를 흔들며 환호했다.
이번 사태는 무가베 대통령이 아내에게 권좌를 물려주려 지난 6일 무리하게 음낭가과 부통령을 경질하면서 시작됐다. 이에 반발한 군부가 지난 15일 하라레를 장악하고 무가베 대통령을 가택연금 시킨 뒤 협의를 벌여왔다. 무가베 대통령은 당초 자발적인 사임을 거부했으나 자신과 가족의 면책권과 사유재산을 보장받은 뒤 자진 사임으로 노선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시엔엔>(CNN) 방송은 군부와 무가베 대통령이 협상 조건에 동의했다고 보도했다.
1980년 짐바브웨 초대 지도자에 오른 무가베 대통령은 임기 제한 헌법을 고치고 부정 선거 논란을 휩싸이면서 37년간 집권했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는 “무가베의 사임이 짐바브웨의 새로운 자유의 길을 구축할 기회를 가져왔다”며 “더 밝은 미래를 이룰 수 있도록 모든 것을 하겠다”고 축하했다. 영국은 1980년까지 짐바브웨를 식민 지배했다. 무가베 대통령과 음낭가과 전 부통령은 함께 독립 운동을 이끈 인물이기도 하다.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도 “오늘은 짐바브웨의 역사적 순간”이라며 “목소리를 내고 평화롭고 명백하게 변화를 외친 모든 짐바브웨 시민들에게 축하를 보낸다”고 했다.
후임 음낭가과 전 부통령이 이번 쿠데타를 조종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시엔엔>은 “한 독재자에서 또 다른 독재자”로 권력이 이양됐다는 표현을 사용했다. <시엔엔>은 2010년 위키리크스가 폭로한 미국 국무부 외교문서에 “음낭가과가 무가베를 뒤이어 권력을 잡으면 더 폭압적인 리더가 될 것이란 두려움이 전국에 팽배하다”고 보고한 적이 있다고 전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