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수단 소년병들이 7일 얌비오에서 석방을 축하하는 행사를 벌이고 있다. 얌비오/AFP 연합뉴스
5년째 내전을 벌이고 있는 남수단에서 7일 소년병 311명이 풀려났다고 <에이피>(AP) 통신이 보도했다. 이번 규모는 내전이 발발한 이래 두번째로 큰 규모이지만, 여전히 1만9천명 이상의 소년·소녀가 정부군과 반군에 소속돼 전쟁에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엔남수단임무단(UNMISS)은 이날 성명을 내고 소녀병 87명과 소년병 224명이 “총을 내려놓았다”며, 몇 주 안에 최소 700명의 소년병이 석방될 것이라고 밝혔다. 임무단 단장 데이빗 시어러는 “어린이는 총을 들거나, 누군가를 죽여서는 안된다”며 “어린이는 놀고, 배우며, 친구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주변 어른들에게 보호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엔은 지금까지 약 2천명의 소년병을 석방시켰고, 이들 중 13세 미만이 10%를 넘는다.
남수단 에콰토리아 얌비오에선 이날 소년병들의 석방을 축하하는 행사가 벌어졌다. 10살 때 무장단체에 납치돼 내전에 투입됐던 크리스토퍼(17)는 “그들은 내 어머니까지 죽이라고 했다”며 “선택의 여지가 없이 총을 쏘지 않으면 내가 죽을 상황이었고, 나는 신에게 용서해달라고 빌었다. 다행히 방아쇠가 말을 듣지 않아 어머니는 무사히 도망쳤다”고 털어놨다.
남수단 소년병들이 7일 얌비오에서 석방을 축하하는 행사를 벌이고 있다. 얌비오/로이터 연합뉴스
이날 풀려난 소년병은 3개월분의 식량을 배급받고 가족에게 돌아간다. 심리 치료도 제공 될 전망이다. 유엔아동기금 아동보호담당관인 앤 하지크로스는 “만약 평화가 유지되지 못한다면, 사람들은 다시 수풀로 돌아갈 것이고 우리는 이 아이들을 잃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의 아프리카 담당관인 마우시 세건은 최근 보고서에서 “소년병 징집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은 수단 남부 전쟁에 대한 어떤 죄값이 치러지지 않고 있다는 뜻이며, 아이들에 대한 이 전쟁의 끔찍한 비용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부통령 타반 덩 가이는 “소년병들의 석방은 평화의 신호”라고 강조했다.
남수단은 2011년 7월9일 수단으로부터 분리돼 독립했다. 2013년 12월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대통령이 리에크 마차르 전 부통령을 쿠데타 혐의로 기소하면서 내전이 발발했다. 2015년 8월 평화 협정을 위한 시도가 시작됐으나 실패했고, 내전은 계속되고 있다. 이 기간동안 수만명이 사망했고, 인구 1200만명의 4분의 1가량이 피난민으로 전락했다. 600만명이 인도주의적 원조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120만명 이상이 기근에 시달리고 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