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화해와 평화적 통일을 위해 ‘시민사회 6자회담’을 열자!”
한국과 일본, 말레이시아, 대만, 몽골 등 동북아시아 각국의 시민단체가 모여 결성한 ‘갈등·분쟁예방 국제연대(GPPAC·지팩) 동북아시아 협의회’가 6일 서울 명동 유네스코회관에서 라운드테이블 회의를 갖고 올해부터 2010년까지 5년동안 시민사회가 실천할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 그 가운데 하나다. 일본의 평화운동 단체 ‘피스보트’가 주최하는 선상 회담의 형식을 빌려 동해에서 열자는 것이다.
동북아시아의 갈등과 분쟁의 불씨는 완전히 꺼지지 않았고, 평화의 씨앗은 아직 뿌리를 내리지 못했다. 그러나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국가 차원의 협력과 해결에만 의존할 수는 없다. 갈등·분쟁 예방을 위해서는 시민사회의 국제적 연대틀 통해 개별국가에 대한 감시와 국가간 신뢰 조성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이런 문제의식을 갖고 출범한 게 지팩 동북아 협의회다.
지팩 동북아협의회는 또 다른 행동계획으로 중국에서 6자회담 학술대회를 개최하자고 제의했다. 협의회 관계자는 “북한에도 피스보트쪽 대화 창구가 있다”며 “현재 협의회에 속해 있지 않은 북한 및 미국과 계속 접촉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일본 내부의 평화헌법 개정 움직임과 관련해서도 협의회는 올해 11월3일을 ‘일본 평화헌법 9조 재정 60주년 기념 국제연대 행동의 날’로 지정하고, 헌법 9조 보존을 호소하는 운동을 펼치기로 했다.
북-일 관계 정상화를 위한 제안도 나왔다. ‘북-일 평양선언’ 기념과 실천을 촉구하기 위해 매년 9월17일 도쿄에서 기념 캠페인을 열며, 금강산에서 북-일 청소년간 공동문화교환 행사도 갖기로 했다. 협의회는 이외에도 유엔 사무총장 후보자에게 갈등분쟁 예방·군축·평화에 대한 입장과 생각을 묻는 질의서신도 발송하기로 했다.
지팩은 2001년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의 발의로 각 지역에서 결성되기 시작했으며, 동북아협의회는 2004년 2월 출범했다. 한국에서는 참여연대, 평화포럼, 평화를만드는여성회 등이 참여하고 있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