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아시아·태평양

호주 총리, 7년 만에 방중…“최대 무역국과 건설적 대화할 것”

등록 2023-11-05 13:58수정 2023-11-05 18:57

앤서니 앨버니지 오스트레일리아 총리가 4일 저녁 중국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에 도착한 뒤 환영나온 중국 어린이로부터 꽃다발을 받고 인사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앤서니 앨버니지 오스트레일리아 총리가 4일 저녁 중국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에 도착한 뒤 환영나온 중국 어린이로부터 꽃다발을 받고 인사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앤서니 앨버니지 오스트레일리아 총리가 5일 중국 상하이에서 방중 첫날 일정에 들어갔다. 그의 방중 행보가 그동안 심각한 마찰을 빚어온 오스트레일리아-중국 관계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눈길을 모은다.

앨버니지 총리는 이날 상하이에서 열린 중국국제수입박람회 개막식에 참석해 “오스트레일리아는 중국과 계속해 건설적으로 협력할 것”이라며 “대화와 협력으로 두 나라 관계를 유지하는 게 우리 모두의 이익”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양국 관계를 “성숙한” 관계라고 표현한 뒤 “두 나라의 건설적인 경제접촉은 관계수립과 상호이해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앨버니지 총리는 전날 밤 상하이에 도착한 직후에도 “우리는 가능한 분야에서 중국과 협력할 것”이라고 적극적인 관계개선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총리의 중국 방문은 2016년 이후 7년 만이다.

앨버니지 총리는 이날 행사를 마친 뒤 베이징으로 이동해 6일 시진핑 주석을, 7일엔 리창 총리를 만나 양국간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 뒤 귀국할 예정이다. 앨버니지 총리의 이번 방중은 1973년 고프 휘틀럼 전 오스트레일리아 총리가 오스트레일리아 총리론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하고 베이징 주재 오스트레일리아 대사관을 연 지 50년이 된 것을 기념해 이뤄졌다.

중국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최대 무역 상대다. 오스트레일리아 전체 무역의 4분의 1 이상이 중국과의 교역에서 나온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이처럼 밀접한 경제적 이해를 공유한 중국과 전통적인 안보 동맹인 미국 사이에서 나름 외교적 균형을 맞추며 중국과 비교적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오스트레일리아가 2018년 중국의 통신업체 화웨이를 안보상의 우려를 이유로 5세대(5G) 이동통신 사업에서 배제하면서 불협화음이 빚어졌다. 2020년엔 자유당 출신인 스콧 모리슨 당시 총리가 코로나19 바이러스 중국 기원설을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갈등은 극에 달했다. 이에 중국은 오스트레일리아산 와인과 소고기, 보리, 석탄 등 10여 개 제품에 고율 관세를 물리며 보복에 나섰다. 이런 상황에서 오스트레일리아는 ‘쿼드’(미국·일본·오스트레일리아·인도 4개국 안보 협의체)와 ‘오커스’(미국·영국·오스트레일리아 3개국 안보 동맹) 등을 통해 외교 안보적으로 미국과 더욱 밀착하며 중국 견제에 적극 나섰다.

두 나라의 관계는 지난해 5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노동당이 총선 승리로 정권교체에 성공하면서 개선되기 시작했다. 두 나라간 고위급 회담이 재개됐고, 중국은 지난해 오스트레일리아산 석탄과 목재 등 일부 품목에 대해 보복적 고율관세를 해제했다. 중국은 지난달 간첩 혐의로 3년 동안 구금되어 있던 중국계 오스트레일리아 언론인 쳉 레이도 풀어줬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12억 오스트레일리아달러(약 1조원) 규모의 오스트레일리아산 와인을 비롯해 소고기와 랍스터 수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또 2019년 간첩 혐의로 중국에 체포된 또다른 중국계 오스트레일리아 작가 양헝쥔의 석방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오스트레일리아가 안보상의 우려를 빌미로 중국 투자를 제한하는 것을 우려하며 이를 완화해 주길 기대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중국 기업협의회 회장 데이비드 올슨은 “중국 투자가 더러운 말이 되어선 안된다”며 오스트레일리아의 적극적인 태도를 촉구했다.

중국은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을 위한 오스트레일리아의 지지도 기대하고 있지만, 앨버니지 총리는 이에 대해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포괄적 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은 일본,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멕시코, 칠레, 페루, 말레이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브루나이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11개 나라가 2018년 발효시킨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신규 가입엔 기존 회원국 모두의 찬성이 필요하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의 ‘12·3 내란’ 관련 언급 “내가 정신 사납다고? 한국 봐라” 1.

트럼프의 ‘12·3 내란’ 관련 언급 “내가 정신 사납다고? 한국 봐라”

‘뿌리는 티켓’일까…전광훈이 받은 트럼프 취임식 초청장, 누가 보냈나? 2.

‘뿌리는 티켓’일까…전광훈이 받은 트럼프 취임식 초청장, 누가 보냈나?

[속보] 하마스, 이스라엘 인질 3명 석방…“건강한 상태” 3.

[속보] 하마스, 이스라엘 인질 3명 석방…“건강한 상태”

‘내란 옹호’ 영 김 미 하원의원에 “전광훈 목사와 관계 밝혀라” 4.

‘내란 옹호’ 영 김 미 하원의원에 “전광훈 목사와 관계 밝혀라”

취임 직전 ‘$트럼프’ 출시…“대통령직 이용 노골적 돈벌이” 5.

취임 직전 ‘$트럼프’ 출시…“대통령직 이용 노골적 돈벌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