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회·공산당정부 해산 등 8개항 발표
무장해제·정치제도 견해차 커 평화 먼 길
무장해제·정치제도 견해차 커 평화 먼 길
네팔에 ‘평화의 계절’이 오는가?
10년 넘게 반정부 무장투쟁을 이끌어 온 네팔의 모택동주의(마오주의) 공산당 지도자 프라찬다가 16일 기르자 프라사드 코이랄라 총리와 직접 만나, 반군 세력이 정부에 참여하는 ‘권력 분점’에 합의했다.
두 지도자는 내전이 일어난 뒤 처음으로 마주앉은 이번 협상에서 △정부는 의회를 해산하고 △마오주의자들은 남부 지역 ‘해방구’에서 운영해 온 공산 정부를 해산한 뒤 △임시헌법에 기초해 마오주의자들을 포함하는 임시정부를 구성하기로 하는 등 8개항에 합의했다고 <아에프페 통신>이 보도했다. 또, 새 헌법을 마련할 제헌의회를 구성할 선거를 치르기로 하고, 선거 기간엔 유엔이 양쪽의 병력과 무기를 감시하도록 요청하기로 했다. 네팔에선 “폭력으로 찢긴 나라에 평화를 가져올 역사적 합의”라는 기대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비비시 방송>이 전했다.
마오주의 네팔공산당은 1996년 “봉건왕조를 타도하고 공산 공화국을 건설한다”는 깃발을 내걸고 ‘인민 전쟁’을 시작했다. 초기엔 보잘것없는 무기를 든 200여명의 병력이었지만, 인구 80%를 차지하면서도 절대빈곤에 시달리는 농민과 하위 카스트 등 소외계층의 지지로 급속하게 세력을 확장했다. ‘농촌이 도시를 포위한다’는 마오주의 전술을 차용해 국토의 절반 이상을 장악했으며, 현재 1만~1만5천명의 병력을 거느리고 있다. 도시는 정부가, 농촌은 마오주의 반군이 통제하는 구도가 굳어졌다. 반군은 조세와 사법, 교육 제도까지 갖춘 자체 정부를 운영해 왔다.
일방적으로 의회를 해산하고 절대왕정으로 복귀한 갸넨드라 국왕의 독재에 맞선 대규모 민주화 시위가 일어난 지난 4월 ‘민주화의 봄’ 동안 마오주의자들은 야당세력과 연합해 민주화 세력을 지원했다. 시위대를 무력으로 진압하려던 국왕이 국내외의 압력에 밀려 결국 권력을 포기한 뒤 새로 들어선 임시 정부와 반군은 휴전협정을 맺고 평화협상을 시작했다.
반군 무장해제 최대 난제 =그러나, 평화가 뿌리를 내리기까지는 많은 걸림돌들이 남아 있다.
이번 협상에서 코이랄라 총리가 ‘무장해제’를 가장 중요한 의제로 요구했지만, 프라찬다는 “총선이 치러질 때까지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뜻을 굽히지 않았다. 이는 앞으로 협상과정의 최대 난제로 꼽힌다. 새 헌법에서 선택할 정치제도를 두고도 의견차가 크다. 코이랄라 총리는 ‘국왕의 상징적 역할’은 남겨 둔 입헌군주제를 희망하지만, 마오주의자들은 이에 격렬히 반대한다. 반군은 한 달 안에 의회를 해산하고, 2007년 4월까지 새 의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요구했지만, 정부는 이 일정에 동의하지 않았다. 집권당인 네팔의회당에선 반군에 너무 많은 양보를 했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1만3천여명의 목숨을 앗아간 오랜 내전을 벌여온 양쪽이 대립을 극복하고 평화와 새 정부 구성에 이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2002년엔 평화협상이 결렬된 바 있다.
인도·중국에도 파장=마오주의자들이 네팔 정부에 합류하기로 한 것은 이웃한 두 강대국 인도와 중국에도 미묘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인도 동북부에서도 마오주의 반군세력이 계속 확산되고 있으며, 인도 정부는 네팔과 인도 마오주의자들이 연합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네팔에서 마오주의자들이 정권을 잡는 것은 인도에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비비시>는 보도했다. 중국 또한 네팔이나 인도의 ‘자생적’ 마오주의자들을 마땅찮게 대해 왔다. 티베트와 국경을 접한 네팔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인도·중국에도 파장=마오주의자들이 네팔 정부에 합류하기로 한 것은 이웃한 두 강대국 인도와 중국에도 미묘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인도 동북부에서도 마오주의 반군세력이 계속 확산되고 있으며, 인도 정부는 네팔과 인도 마오주의자들이 연합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네팔에서 마오주의자들이 정권을 잡는 것은 인도에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비비시>는 보도했다. 중국 또한 네팔이나 인도의 ‘자생적’ 마오주의자들을 마땅찮게 대해 왔다. 티베트와 국경을 접한 네팔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