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 망명정부가 중국에 자치권 확대를 요구해온 ‘중도’ 노선을 버리고 독립을 요구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삼동 린포체 티베트 망명정부 총리는 18일 “다수가 찬성해 독립 요구에 나서기로 결정한다면, 이를 따를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린포체 총리의 발언은 지난 17일부터 인도 다람살라에서 엿새의 일정으로 중국에 대한 향후 투쟁 노선을 결정할 특별회의가 열리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특별회의에 앞서 망명정부가 중국 내 티베트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독립노선을 지지하는 이들이 자치노선을 지지하는 이들보다 두 배 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가 18일 전했다. 카르마 초펠 티베트 망명정부 대변인은 최근 중국의 티베트인들에게 비밀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자 1만7천명 가운데 5천여명이 ‘완전한 독립’을 바라는 것으로 답했다고 밝혔다. 신문은 이런 수치가 중국 정부와의 협상을 통한 ‘고도의 자치’를 원한다는 응답자보다 두 배 가량 많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티베트 망명정부와 망명단체 대표 등 수백명이 참석한 이번 회의에선 티베트의 독립을 향한 한층 공격적인 노선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3월 라싸의 분리독립 시위가 무력 진압된 이후 티베트인들 사이에선 달라이 라마의 협상 노선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기 때문이다. 티베트의 독립보다는 자치를 추구했던 달라이 라마가 이 노선을 포기하겠다고 밝힌 뒤, 중국 정부와 달라이 라마 특사단이 회담을 벌였지만 실패로 끝난 것도 영향을 끼쳤다. 특사단은 △중국 헌법에 티베트의 자치권 부여와 자치정부 구성에 관한 원칙 명시, △티베트의 언어와 문화 보호, △한족의 티베트 이주정책 중단 등을 요구했으나, 중국 정부가 이를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주웨이췬 중국 공산당 통일전선부 상무부부장은 “티베트는 국가가 될 수 없으며 고도의 자치도 누릴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베이징/유강문 특파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