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미얀마 국경 지대
정부군 총선전 국경통제 강화하자 소수민족 저항
중, 난민유입 우려하면서도 불간섭 원칙 ‘딜레마’
중, 난민유입 우려하면서도 불간섭 원칙 ‘딜레마’
미얀마 정부군이 북부 지역의 중국계 소수민족 반군과 교전을 벌이면서, 중국-미얀마 국경에 전운이 감돌고 있다. 국경지대인 중국 남부 윈난성에는 교전을 피해 도망친 3만여명의 난민이 국경을 넘어 몰려들었다고 중국 관영 <차이나데일리>가 30일 보도했다.
중국 <신화통신>과 <환구시보>는 지난 27일 중국계 코캉 민병대와 정부군 사이에 교전이 시작된 이래 “소규모 충돌”이 계속되고 있다며, 30일에도 국경 너머에선 포성과 총성이 계속 울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코캉 민병대 지도자 펑자성은 29일 <글로벌타임스>에 지난 이틀 동안 정부군 30명 이상을 사살하고, 50명을 생포했다고 주장했다. 29일엔 국경을 넘어 날아온 폭탄으로 윈난에서 중국인 1명이 숨지기도 했다. 중국 당국은 7곳의 난민촌을 마련해 피난민들에게 거처를 제공하고 있다고 윈난성 정부는 밝혔다.
이번 사태는 미얀마 군사정부가 내년 총선을 앞두고 국경지역 통제권 강화에 나서면서 촉발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군사정부는 지난달 소수민족 민병대를 미얀마군에 통합시키라는 명령을 내렸고, 코캉 지역 지도자들이 이를 거부하자 마약 수색을 명분으로 이달 초 코캉 민병대 지도자 펑자성의 집을 급습했다. 이어 민병대 세력이 결집하면서 지난 27일부터 정부군과 교전이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얀마 북부 샨주에 위치한 코캉은 미얀마 중앙정부의 통치권이 거의 미치지 않는 산악지역으로 15만여명의 주민 대부분이 중국어를 사용하는 중국계 소수민족이다. 이들은 명나라 멸망 당시 만주족의 청나라에 반대해 이곳까지 온 사람들의 후예로 알려져 있다. 미얀마 정부는 1989년 코캉 민병대인 미얀마민족민주동맹군과 휴전을 맺어 민병대가 이 지역을 관할하도록 자치권을 줬다.
국제사회의 비난 속에서도 미얀마 군사정부와 우호관계를 맺어온 중국 정부는 국경 지대의 대량 난민사태로 딜레마에 빠졌다. 중국은 대규모 난민 유입이 국경지역의 안정을 해칠까 우려한다. 중국 정부는 27일 장위 외교부 대변인 명의로 성명을 발표해 “중국은 미얀마가 국내 문제를 적절히 해결해 중국-미얀마 국경지역의 안정을 유지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국제사회가 미얀마 군사 독재를 비판해 왔지만, 중국은 내정불간섭 원칙을 강조하며 미얀마의 광산과 석유, 가스전 등에 막대한 투자를 해왔다.
중국은 코캉 민병대와 연합한 다른 소수민족 민병대들이 가세해 미얀마에서 전면적 내전이 일어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싱가포르의 <연합조보>가 보도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