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주 상장폐지 절차 밟을 수도
92년 된 세계적 카메라 회사인 일본의 올림푸스가 회계장부 조작 등에 대해 경찰의 수사를 받으면서 최대 위기에 빠졌다. 이르면 다음주부터 도쿄증권거래소가 상장 폐지 절차를 밟을 수도 있다는 보도도 나온다.
10일 일본 <요미우리신문>과 영국 <비비시> 등은 일본 도쿄 경찰이 올림푸스가 인수합병 때 거액 자문료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돈을 빼돌려 유가증권 투자 손실을 메운 것에 대해 금융법 위반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경찰은 올림푸스에 회계장부를 제출하라고 요구했으며, 임직원에 대해서도 수사할 계획이다. 또 일본의 증권거래감독위원회도 이 사건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올림푸스의 주식은 개장 뒤 팔자 주문이 쏟아져 거래가 중단되기도 했다. 이 회사의 주가는 지난 8일 30%, 9일 20%가량 폭락했다.
앞서 올림푸스는 지난 8일 수십년 동안의 유가증권 투자 손실을 장부에 기재하지 않고 몰래 메우기 위해 자문회사에 거액 자문료를 지급하는 내용으로 회계장부를 조작했다는 사실을 시인했다. 또 이 행위에 기쿠카와 쓰요시 전 이사회 의장을 포함해 3명의 주요 이사들이 관여됐다고 털어놓았다.
이번 사건은 지난달 14일 영국인인 마이클 우드퍼드 최고경영자를 해고하면서 불거졌다. 그는 올림푸스가 영국 의료기회사 자이러스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인수액의 3분의 1에 이르는 거액의 자문료를 유령회사에 지급한 일에 대해 조사중이었다. 올림푸스 주식의 4%를 보유한 스코틀랜드 투자회사인 베일리 기퍼드의 일레인 모리슨은 “올림푸스한테 필요한 것은 총체적인 청소이고, 우드퍼드가 그 일을 할 적임자라고 생각한다”며 “이번 비리와 관련된 모든 책임자들을 회사로부터 제거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은 올림푸스가 이번 사건과 관련해 올해 3분기와 과거의 실적 보고서를 수정한 뒤 기한 안에 제출하지 못하면 이르면 다음주부터 도쿄증권거래소가 상장을 폐지하는 절차에 들어갈 수 있다고 보도했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