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인도 남부 방갈로르에 있는 우주개발기구(ISRO) 통제센터에서 과학자들이 인도 화성 탐사선 망갈리안이 화성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는 소식을 듣고 엄지를 치켜들며 기뻐하고 있다. 방갈로르/AP 연합뉴스
미국의 1/10인 7500만달러 투입
“영화 ‘그래비티’ 제작비보다 저렴”
“영화 ‘그래비티’ 제작비보다 저렴”
인도가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화상 탐사선의 화성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24일 인도 화성 탐사선인 ‘망갈리안’(힌두어로 화성 탐사선)이 화성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고 <타임스 오브 인디아> 등 현지 언론들이 보도했다. 미국과 옛 소련, 유럽연합(EU)에 이어 세계 네번째 성공 사례다.
이날 오전 망갈리안이 화성 궤도 집입을 위해 24분여 동안 엔진을 가동하자, 인도 남부 방갈로르의 통제센터엔 팽팽한 긴장이 흘렀다. 약 12분 뒤 망갈리안이 화성 궤도로 진입했다는 신호가 전해지자, 통제센터에 모여 있던 과학자들은 벌떡 일어나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고 <타임스 오브 인디아>가 전했다. 통제센터에서 성공을 지켜본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오늘 역사가 새로 쓰였다”고 말했다.
망갈리안은 앞으로 6개월 정도 화성 궤도를 돌면서 메탄 가스 등 화성 대기환경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예정이다. 망갈리안은 지난해 11월5일 인도 중부 안드라프라데시주에서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같은해 11월30일 지구 궤도를 벗어났고, 약 10개월간 2억㎞를 날아서 화성에 진입했다.
화성 탐사선의 궤도 진입 성공은 미국이 1964년 처음 해냈고 1971년 옛 소련도 성공했다. 2003년에는 유럽연합도 성공했으나, 일본은 1998년, 중국은 2011년에 시도했다가 실패했다. 인도는 자국 기술을 이용해 다른 나라에 비해 훨씬 저렴한 비용인 약 7500만달러로 화성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고도 자랑하고 있다. 미국이 최근 발사한 화상 탐사선 ‘메이븐’에 쏟아부은 돈은 인도의 10배에 가까운 6억7100만달러에 이른다. 모디 총리는 “망갈리안 발사 비용이 할리우드 영화 <그래비티> 제작비보다 저렴했다”고 자랑했다. <그래비티> 제작비는 약 1억달러다.
<비비시>(BBC) 방송은 인도 화성 탐사선이 과학적 목적보다는 강대국 지위 추구, 중국과의 ‘우주 경쟁’ 등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보는 이들도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2007년 달 탐사선 발사에 성공했고, 인도가 아직 하지 못한 유인 우주선 발사에도 성공했다.
인도 고위 관료는 <비비시>에 “인도는 가난한 나라여서 우주 탐사를 할 여유가 없다는 주장은 1960년대부터 있었다”며 “우리가 거대한 꿈을 꿀 수 없다면 인도에는 장작 패는 사람과 물 긷는 사람만 남을 것이다. 인도는 너무 거대해서 첨단기술의 가장자리에 머물러 살 수는 없게 됐다”고 말했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