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중국

얼마나 급했으면…중국, ‘호주산 석탄’ 슬쩍 통관허가

등록 2021-10-06 15:41수정 2021-10-07 02:38

화물선 두 척이 4일 중국 허베이성 창저우의 황화항에 석탄을 싣고 입항해 있다. 신화 연합뉴스 자료사진
화물선 두 척이 4일 중국 허베이성 창저우의 황화항에 석탄을 싣고 입항해 있다. 신화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해 오스트레일리아산 석탄에 대한 금수조치를 내렸던 중국이 최근 심각한 에너지난을 맞아 일부 오스트레일리아산 석탄의 통관을 허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번 조치가 전면적인 금수해제 조치로 이어질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아 보인다.

선박매매·대여 중개업체인 ‘브레이마 에이시엠 쉽브로킹’(Braemar ACM Shipbroking)의 닉 리스틱은 지난해 비공식 금수조치가 발효된 이후 중국 항구 밖에서 대기하던 오스트레일리아산 석탄 45만톤이 지난달 항구로 들어와 하역됐다고 말했다고 <파이낸셜 타임스>가 5일 보도했다.

에너지 조사기관 ‘케이플러’(Kpler)도 항구 밖에서 기다리던 배 다섯 척이 지난달 오스트레일리아산 석탄 38만3천톤을 중국 항구에 부렸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최근 중국 세관당국이 이들 석탄의 통관을 허용할 것이라는 신호를 보낸 사실을 들어 이번에 하역된 석탄이 다른 나라로 다시 팔렸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4월 스콧 모리슨 오스트레일리아 총리가 중국을 겨냥해 코로나19 기원에 대한 독립적인 조사를 요구하자, 이에 대한 보복조치에 나섰다. 오스트레일리아산 쇠고기를 금수하고 와인 등 농산물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에너지 기업에는 구두로 “오스트레일리산 석탄을 수입하지 말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비공식적 금수조치에 따라 2019년 5천만 톤에 이르던 오스트레일리아산 석탄의 중국 수입은 지난해 3500만톤으로 줄었고, 지난해 11월 이후로는 수입량이 실질적으로 ‘0’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에너지 컨설팅업체인 ‘우드 매켄지’(Wood Mackenzie)가 밝혔다.

그러나 중국이 최근 일부 지역에서는 공장 가동 시간도 제한하는 등 심각한 에너지난을 겪자, 비록 신규 수입물량이 아니라 대기물량이지만 슬그머니 오스트레일리아산 석탄의 하역을 허용한 것이다. 이는 역설적으로 중국의 에너지난이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로 해석된다.

그럼에도 이번 조치가 중국 당국의 전면적인 정책전환의 신호일 가능성은 별로 없다는 분석이 많다. 시장정보업체 ‘아이에이치에스 마킷’(IHS Markit)의 라라 둥은 “정책 완화의 신호로 보이지만 오스트레일리아산 석탄 수입 금수조치에 큰 변화가 생기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중국은 석탄의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 때문에 심각한 에너지난을 겪고 있다. 중국이 국경절 휴가에 들어가기 전인 지난달 30일 장저우 상품거래소에서 석탄은 지난달보다 75% 오른 톤당 393.60 위안(25만8천원)에 거래됐다.

중국은 오스트레일리아산 석탄의 공백을 메꾸기 위해 다른 나라의 수입을 늘리고 있다. 저장성이 6월과 7월 미국에서 석탄을 들여온 데 이어 4일엔 처음으로 카자흐스탄산 석탄을 수입했다. 최대 석탄수입국인 인도네시아와 러시아, 몽골 등에서 석탄 수입을 크게 늘리려는 시도도 하고 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는 우기가 겹치면서 추가적인 수입물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러시아와 몽골도 철도 수송능력의 부족으로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로이터>가 전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