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중국 환율조작국” 비난
중 “보호무역주의 정서일뿐”
중 “보호무역주의 정서일뿐”
티머시 가이트너 미국 재무장관이 최근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목하면서 미국과 중국 사이에 경제정책을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예상되는 무역과 환경, 인권 문제를 둘러싼 미-중 갈등의 예고편으로 해석된다.
로버트 깁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은 26일 중국과 경제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선 위안화 환율 문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며, 올 봄에 이에 대한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는 것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미국은 1989년부터 매년 봄과 겨울에 보고서를 통해 각국의 환율조작 여부를 평가하고 있다.
앞서 가이트너 재무장관은 22일 상원 인사청문회에 제출한 서면 답변에서 “미국의 최대 무역국인 중국이 환율을 조작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며 “중국의 이런 관례를 바꾸기 위해 모든 외교적 수단을 공격적으로 동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중국 상무부는 23일 성명을 내어 “중국은 이른바 환율조작이라는 것을 이용해 국제무역에서 이득을 취하려고 한 적이 없다”며 “중국에 대해 근거 없는 비난을 쏟아내는 것은 보호무역주의 정서를 드러낼 뿐”이라고 반박했다. 쑤닝 인민은행 부행장도 24일 “중국이 환율을 조작하고 있다는 미국의 주장은 금융위기의 진정한 원인을 찾으려는 노력을 방해하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미국 새 정부가 중국의 위안화 환율조작 문제를 제기한 것은 환경과 기후변화, 지적재산권 등 향후 경제정책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을 예고한다. 인권을 강조하는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의 태도도 미-중 관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베이징/유강문 특파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