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자 5만명 낙후지역 교사파견
농민 소비지원도…‘하향정책’ 확대
농민 소비지원도…‘하향정책’ 확대
중국 정부가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추진중인 ‘하향’(下鄕) 정책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내수 진작을 위해 농촌의 가전제품·컴퓨터·자동차 구입을 지원하더니, 이번엔 취업난 해소를 위해 대졸자들을 대거 낙후지역으로 내려보내기로 했다.
중국 교육부는 10억위안(2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올해 말까지 5만명의 신규 대졸자들을 중·서부 낙후지역과 농촌에 교사로 파견하는 ‘교사 하향’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가 20일 전했다.
‘교사 하향’은 갈수록 악화하고 있는 신규 대졸자들의 취업난을 완화하고, 낙후지역의 교육여건을 개선하려는 조처로 풀이된다. 중국에선 올해 610만명의 대졸자가 취업시장에 쏟아져 나올 예정이지만, 상당수가 직장을 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취업난은 광둥성·푸젠성 등 수출기업이 밀집한 곳에서 특히 심각하다. 올해 광둥성의 대졸자는 33만1천명으로 추산되는데 지금까지 취업이 확정된 학생은 9%인 2만8천여명뿐이다. 최근 선전에선 일본 유학까지 마친 한 여대생이 원하는 직장을 구하지 못하자 고층건물에서 뛰어내려 스스로 목숨을 끊기도 했다.
중국 정부는 ‘자동차 하향’을 실시해 연말까지 농민들이 경화물차와 배기량 1300㏄ 이하 소형 승용차를 사면 구입가의 10%를 보조금으로 지원한다. 농민들이 오토바이를 사면 구입가의 13%를 보조하는 ‘오토바이 하향’과 가전제품을 살 때 13%의 보조금을 주는 ‘가전 하향’도 실시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이런 하향정책이 농촌의 내수를 자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 인구의 55%가 사는 농촌의 1인당 평균소득은 지난 5년간 13%씩 증가했다. ‘가전 하향’이 성공하면 향후 4년간 7억대의 가전제품이 팔릴 것으로 추산한다. 그러나 일각에선 하향정책이 농촌을 죽이는 악수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농촌의 실질 구매력이 증가하지 않는 상황에서 무리한 소비가 지속되면 농민들의 빚만 늘어나는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베이징/유강문 특파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