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달새 대규모 반대파업 3차례
정부도 노동자 요구에 민영화 중단
정부도 노동자 요구에 민영화 중단
중국에서 민영화에 반대하는 노동자들의 대규모 시위가 계속되고 있다.
중국 후난성 렁수이장시에서 지난달 22일부터 5000명이 넘는 노동자들이 민영화 과정에서 정당한 보상을 해줄 것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1일 보도했다.
국영 후난성석탄그룹 산하 진주산광업회사 노동자 5천여명은 회사가 민영화를 추진해 노동자들을 대규모로 해고하려 하면서, 낮은 보상금에 합의하도록 강요하고 있다며 열흘 넘게 파업을 계속하고 있다. 후난성석탄그룹은 후난성의 다른 광업회사들과 합작회사를 설립하는 형식으로 회사의 일부 부문을 민영화해 3년 안에 증시에 상장할 예정이다. 이는 최근 한달여 사이에 중국에서 3번째로 벌어진 민영화 반대 대규모 파업이다.
지난 7월24일엔 동북부 지린성 통화에서 통화철강 노동자 수만명이 회사의 민영화 방침에 반대해 시위를 벌였다. 이 과정에서 이 회사를 인수하려던 민영 젠룽철강의 임원 천궈쥔이 해고 방침에 반대한 통화철강 노동자들에게 맞아죽었다. 이후 8월11~14일에는 허난성 푸난에선 국영 린저우철강 노동자 4백여명이 민간기업에 인수합병되는 것을 반대하며 지방정부 간부 1명을 인질로 잡고 민영화 철회를 요구했다.
중국에서 민영화 반대 파업은 여러 차례 일어났지만, 최근엔 중국 정부가 파업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인정하는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중국 정부는 시위가 일어난 두 회사의 민영화를 중단시켰고, 앞으로 이 기업들의 어떤 구조조정에 대해서도 노동자들의 의견을 반영하겠다고 약속했다. 중국 관영 <인민일보> 산하 <글로벌타임스>는 이 두 사건을 자세히 보도하면서, “대량해고를 일으키는 개혁은 고용주와 노동자 사이의 갈등을 높이고 있다. 중국 기업법에 따라 기업의 합병, 분할, 구조조정, 파산신청 등에서 노동자들의 의견을 존중해야 하다”고 보도했다.
중국 좌파들의 근거지로 꼽히는 서점 ‘우요우즈샹’의 판진강 대표는 “지난 10여년 동안 민영화가 계속됐지만, 중국 정부와 보수적 언론들은 이 문제점을 얘기하지 않았다”며 “그러나 지난해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많은 중국인들이 서구식 발전모델과 세계화 모델에 의문을 가지고 노동자들의 목소리에 더 주목하게 됐다”고 해석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