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중전회 보고에 내용 없어
중국의 주요 정책이 결정되는 공산당 중앙위원회 4차 전체회의(4중전회)가 끝난 뒤 이를 둘러싼 미스터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 18일 4중전회 폐막과 함께 발표된 ‘4중전회 공개 보고’에는 당내 민주화와 부정부패 척결, 경기부양정책 유지 등에 대한 원칙들이 나열돼 있을 뿐, 구체적인 결정들은 빠져 있다.
우선 최대 관심사였던, 시진핑 국가부주석이 후진타오 주석의 후계자로 확정됐는지가 오리무중이다. 18일 홍콩 <명보>는 4중전회에서 시진핑 국가 부주석을 중앙군사위 부주석으로 선출하는 안건이 통과됐으며, 10월1일 건국 60주년 기념행사 이후 정식 발표가 나올 것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후 시 부주석이 중앙군사위 부주석이 되는 데 실패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21일 시진핑 부주석이 군사위원회 부주석에 임명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며, 공산당 지도부 파벌 간 갈등 때문에 합의가 이뤄지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태자당’으로 분류되는 시 부주석을 후계자로 확정하는 문제에 대해, 후진타오 주석의 공청단계와 라이벌 상하이방, 태자당계열 사이에 합의가 이뤄지지 못했다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시진핑이 군사위원회 부주석에 임명되지 못한 것은 후진타오 주석이 2012년 퇴임 이후에도 군사위원회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관측했다.
하지만 시진핑 부주석이 올해 군사위 자리를 확보하지 못했더라도 여전히 가장 유력한 차기 지도자 후보임은 분명하다. 그는 4중전회에서 새로운 당 건설에 대한 문건을 당원들에게 설명하는 중요한 임무를 맡았다.
올해 4중전회가 남긴 또하나의 의문은 회의 전부터 관영 언론들이 예고한 ‘공직자 재산신고제’가 채택됐는지 여부다. 4중전회와 이어 열린 당 기율검사위 회의에서 기대를 모은 ‘공직자 재산 신고제’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 대신 기율검사위는 당 고위 간부들에게 부동산과 투자 상황, 배우자와 자녀의 취업 현황을 보고하도록 지시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