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총재 자리 노려…투표권 확대 가능성도
주민(55) 중국은행 부행장이 국제 금융질서 재편과 관련해 집중 조명을 받고 있다. 중국 정부가 주 부행장을 국제통화기금(IMF) 부총재로 밀고 있으며, 이는 국제금융기구에서 발언권을 강화하려는 계획의 일부라는 관측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중국 정부의 고위관리는 “중국 정부가 이미 주 부행장을 인민은행 부행장으로 임명하는 방안을 승인했고 이를 곧 발표할 것”이라며 “중국 정부는 최종적으로는 주 부행장이 국제통화기금 부총재로 나서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홍콩 <봉황위성텔레비전>과 <월스트리트 저널> 등이 19일 보도했다.
주 부행장은 미국 존스홉킨스대 경제학 박사 출신으로 1991년~1996년 세계은행에서 근무했으며 이후 중국은행에서 구조조정 및 상장을 감독해 왔다. 중국 정부는 국제금융기관에서 활동했던 그가 국제통화기금 부총재로 나서기에 좋은 조건을 갖춘 것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세계 금융질서를 재편하려는 각축전 속에서 중국은 국제금융기구 내 위상 강화와 지분 확대를 요구해 왔다. 그동안은 유럽이 국제통화기금 총재, 미국이 세계은행 총재, 일본이 아시아개발은행(ADB) 총재 임명권을 나눠가지는 관행에 따라 지배권이 행사돼 왔다. 중국은 이에 도전장을 던지려는 것이다. 지난해에는 린이푸 베이징대 교수가 개발도상국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세계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됐다.
이와 함께 국제통화기금 내에서 중국의 투표권도 일본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올라설 가능성이 크다고 중국과 홍콩 언론들이 18일 보도했다. 반관영 <중국신문사>는 고테가와 다이스케 국제통화기금 일본사무소장이 최근 “2011년 1월에 끝나는 국제통화기금 지분 재조정 중국이 지분을 늘려 투표권에서도 일본을 제치고 2위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국제통화기금에서 중국은 현재 3.72%의 지분율로 6위다. 1위인 미국은 17.09%를, 일본은 6.12%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달 국제통화기금이 재원 확충을 위해 발행한 특별인출권(SDR) 채권을 최대 500억달러어치 매입하기로 해, 통화기금 내 중국의 지분도 증가할 전망이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