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장 건설 추진하며 주민들과 마찰
급격한 경제성장과 함께 ‘쓰레기 대국’으로 변한 중국이 쓰레기 처리를 둘러싸고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정부가 포화 상태에 이른 쓰레기 매립지 대신 전국 곳곳에 쓰레기 소각장 건설을 추진하면서 주민들과 충돌이 늘고 있다.
광둥성 광저우시 판위 지역 쓰레기 소각장 건설 반대운동에는 지금까지 6만여명이 서명을 했다고 홍콩 언론들이 전했다. 지역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은 소각장에서 나오는 다이옥신으로 인한 암 발병 등 건강 문제를 지적한다. 광저우에는 이미 2006년 제1소각장이 건설됐고, 시 정부는 9억3000만위안을 들여 판위지역에 제2소각장을 건설해 내년에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여론조사 응답자의 97%가 새 소각장 건설에 반대하는 등 반발이 크다.
<남방주말>은 5일 올들어 상하이, 선전, 난징, 쓰촨, 베이징, 우장, 광저우 등에서 주민들의 쓰레기 소각장 반대 활동이 잇따라 벌여졌다고 보도했다. 지난달에는 장쑤성 우장에서 주민 수만명이 시정부 청사 앞에서 소각장 가동에 반대하는 항의 시위를 벌였고, 당국은 결국 가동 중단에 동의했다. 9월에는 베이징 외곽의 주민들이 소각장 건설에 반대하며 시위를 벌이다가 20여명이 당국에 체포되기도 했다. 베이징 외곽 창핑과 류리툰, 가오안둔 주민들은 지난 8월부터 소각장 건설에 반대하는 활동을 해왔다.
녜융펑 칭화대학 교수의 연구를 보면, 지난 20년 동안 중국의 종이와 플라스틱, 기타 쓰레기는 3배 이상 급증했다. 여전히 세계 최대의 쓰레기 배출국은 미국이지만,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30년의 짧은 시간 동안 쓰레기가 급증하면서 처리 시설과 능력은 심각하게 부족한 상태다. 쓰레기는 분리수거되지 않고 그대로 매립되거나 소각된다. 농촌의 들판에 무허가로 아무렇게나 매립된 쓰레기는 토양을 오염시키며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