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카쿠 충돌 후폭풍…중 대학서 일본제품 불매운동
일 우익인사들 중국대사관 앞 시위…양국 정부 곤혹
일 우익인사들 중국대사관 앞 시위…양국 정부 곤혹
“댜오위다오를 반환하라” “일본 상품을 쓰지 말자”
16일 오후 중국 서부 쓰촨성 청두시, 2000여명의 대학생들이 시내 중심가에서 플래카드를 들고 반일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시작했다. 시민들이 가세하면서 1만명 이상으로 불어난 시위대는 일본계 유통업체인 이토요카도 앞으로 몰려들었다. 일부 시위 참가자는 화분 등을 던져 매장의 유리창을 깨기도 했으며, 이를 막는 경찰과 충돌하기도 했다고 <신화통신>과 <명보> 등이 보도했다.
이날 중국과 일본에서는 상대방을 비난하는 대규모 거리시위가 동시에 벌어졌다. 지난달 벌어진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 이후 화해를 모색중인 중일관계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졌다.
청두 외에도 산시성 시안, 저장성 항저우, 허난성 정저우, 후난성 창사, 랴오닝성 선양 등 중국 전국 각지의 대도시에서 각각 수천~1만여명의 시위대가 반일시위에 나섰다. 시안에서는 7000여명의 대학생들이 반일시위를 벌이면서 일본 국기를 불태웠으며, 일부는 일본 운동용품을 파는 가게에 난입하기도 했다. 2005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신사 참배에 반발해 일어났던 중국 내 반일시위 이후 최대 규모다.
이번 시위는 각지의 대학생들이 인터넷을 통해 조직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의 시위대들은 한달쯤 전부터 각 대학 학생회들이 자발적으로 반일시위를 준비했으며, 대학 안에서 일본제품 불매 서명운동도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고 <문회보>는 전했다. 중요한 정치행사인 공산당 5중전회가 개최중인 가운데, 정부가 시위를 강하게 통제하는 중국에서 민간이 조직한 대규모 시위가 벌어진 것은 이례적이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17일치에서 장쩌민 전 국가주석이 주도한 ‘애국교육’으로 반일감정을 품고 있는 젊은 세대가 이번 시위 주역이라며 대중의 자발적 시위를 당이 통제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16일 일본 도쿄에서도 보수인사인 다모가미 도시오 전 항공막료장 등이 주도한 우익 시위대 2000~3000여명이 일본 국기를 들고 중국대사관 앞에 몰려가 반중시위를 벌였다. 지난 8일에는 주일 중국대사관에 실탄이 담긴 협박편지가 날아들기도 했다.
중국과 일본 정부는 최근 양국 총리의 ‘복도회담’ 이후 관계정상화를 위해 긴밀하게 움직이고 있었지만, 반일·반중 여론 악화로 당혹스러운 처지에 빠졌다. 마자오쉬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6일 외교부 홈페이지에 올린 논평에서 일본 우익 시위대가 주일 중국대사관 앞에서 반중시위를 벌인 데 대해 일본 쪽에 깊은 관심과 우려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중국 내 반일시위에 대해서도 “애국적인 열정은 법에 의해 이성적으로 전달돼야 한며 비이성적이며 불법적인 행동에는 찬성하지 않는다”며 반일시위가 양국관계의 추가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모습이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