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당 독재반대 등 정부 비판
경찰, 참가자 연행·대학 봉쇄
경찰, 참가자 연행·대학 봉쇄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열도) 영유권 갈등을 계기로 불붙은 중국인들의 반일시위가 정부의 통제에도 불구하고 지방도시를 중심으로 2주째 계속되고 있다. 반일구호 속에 정부와 사회문제에 대한 불만도 섞여 터져나오고 있다.
주말인 지난 23일 쓰촨성 더양시에서 1천여명이 반일시위를 벌인데 이어 24일에는 간쑤성 란저우, 산시성 바오지, 장쑤성 난징, 후난성 창사 등 10여개 지방도시에서 반일시위가 벌어졌다고 <문회보> <명보> 등 홍콩 언론들이 25일 보도했다.
특히 바오지에서는 수백명이 ‘댜오위다오를 돌려달라’ ‘일본상품 불매’ 등 반일구호와 함께 ‘일당독재 반대’ ‘집값이 너무 비싸다’ ‘부정부패 해결’ 등 정부를 비판하는 내용의 현수막도 내걸고 시위를 벌이다 1시간여 만에 해산됐다. <아사히 신문>은 25일 이날 상황을 전하며 “반정부 구호를 외친 참가자들은 바로 경찰에 연행됐고, 재발을 두려워한 지역 당국이 25일 아침 시내 대학을 봉쇄하고 학생들의 자유로운 외출을 금했다”고 보도했다. 일부 시위 참가학생들은 대학으로부터 제적 처분을 통지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6일 쓰촨성 청두와 산시성 시안 등에서 대학생들이 조직한 시위가 벌어진 것을 계기로, 연해지역의 번영하는 경제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중서부 내륙지역에서 시위가 집중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빈부격차와 부동산 가격 급등 등 경제·사회적 현실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다. 시위가 급격히 확대되고 당국에 대한 불만도 표출되자, 17일 이후부터는 중국 주요 언론이 반일시위 관련기사를 보도하지 않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인민일보> 등 관영매체들을 동원해 시위 자제를 촉구하는 등 긴장하고 있다. <인민일보>는 25일 ‘법에 따라 이성적으로 애국 열정을 표현해야 한다’는 칼럼에서 “법과 이성에 따르지 않고 애국감정을 표출한다면 정상적 사회질서를 유지할 수 없게 돼 사회안정과 빠른 경제 발전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고 주장했다.
시위 봉쇄 조처도 강화되고 있다. 장쑤성 난징에서는 24일 100여명이 모였지만 시위를 시작하기 전 경찰이 해산 시켰다. 인터넷에 시위 공지가 뜨는 대로 삭제되고 있고, 시위 예고가 나온 도시의 학교에는 주말에 수업을 진행하도록 통지가 내려졌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길윤형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