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보다 개인정보에 민감
농민공등 불이익 우려 기피
농민공등 불이익 우려 기피
‘열흘 안에 중국인을 모두 헤아리라’는 특명을 받고 600만명이 넘는 조사원이 중국 전역에서 움직이기 시작했다. 10년에 한번씩 실시하는 인구대국 중국의 인구조사가 지난 1일부터 진행되고 있지만, 중국인들의 조사 기피로 조사원들이 진땀을 흘리고 있다.
과거와 달리 개인정보에 민감해진 중국인들은 방문한 조사원들에게 응답을 거부하는 사례가 많다. 아울러 한자녀정책을 위반한 가정들이 벌금 등을 우려해 조사원의 방문과 개인정보 제출을 거부하고 있다. 호구 등록지역을 떠나 도시에서 일하고 있는 농민공들도 조사에 응했다가 일자리를 잃거나 강제로 고향으로 돌려보내질 것을 우려해 조사를 기피하는 이들이 많다. 국가통계국 인구취업국 펑나이린 국장은 기자회견에서 “과거 조사에 비해 많은 이들이 조사에 협조하길 거부하고 있다. 삶이 더 바빠진데다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이 커졌기 때문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를 총괄하는 리커창 부총리가 직접 나서서 “인구조사에 협조하라”고 독려하고 있으나 정확한 조사가 쉽지는 않은 상황이라고 중국 언론들은 전했다. 아파트와 지하철에는 ‘현재의 인구조사는 더나은 미래 삶에 도움이 된다’는 구호가 나붙어 주민들을 설득하고 있다.
‘세계 최대, 역대 최대’ 규모인 이번 인구조사에선 각종 기록이 속출하고 있다. 웬만한 중소국가의 인구에 해당하는 600만명 이상의 조사원들이 10일까지 중국 전국의 4억 가구를 일일이 방문해 주민들로부터 18개 항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있다. 결과는 내년 4월에 발표될 예정인데 10년 전 조사에서 12억9500만명을 기록한 중국 인구가 매년 1%씩만 증가했더라도 14억3000만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상 최초로 외국인을 조사 대상에 포함했고, 호구 등록지역이 아닌 실제 거주지별로 인구 통계를 낼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농민공 등 유동인구 실태와 한자녀정책과 남녀 성비 불균형 현황 등을 파악해 교육, 의료, 고용, 사회복지 정책의 기초로 삼을 계획이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