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본 적 없어 불분명”
다음주 있을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의 미국 방문에서 북한 문제가 주요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중국은 북한의 우라늄 농축 활동에 대해 ‘판단 유보’ 뜻을 밝혔다.
추이톈카이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14일 베이징 외교부 청사에서 ‘신세기 중-미 관계’를 주제로 연 란팅포럼에서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 공개에 대해 “내 이해에 따르면 중국인은 아직 (관련 시설을) 본 적이 없고 미국 전문가들이 본 것”이라며 “보도에 따르면 미국 전문가들도 (북한 핵시설을) 분명하게 본 것은 아니므로 아직은 분명한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시그프리드 헤커 스탠퍼드대 국제안보협력센터 소장 등을 초청해 영변의 우라늄 농축시설을 공개했고, 미국에선 북한의 우라늄 농축을 방치할 경우 급속한 핵 확산이 우려된다고 판단하고 심각한 위기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중국은 북한의 우라늄 농축을 아직 믿을 수 없다고 공개적으로 밝혀 미국과의 이견이 적지 않음을 드러냈다.
추이 부부장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북한의 우라늄 농축 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상정해 북한을 제재하자고 하면 중국은 동의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과거의 경험을 보면 한반도 핵문제를 처리하는 데 더욱 적절한 기구는 유엔 안보리가 아닌 6자회담”이라며 안보리 상정에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최근 미국이 동맹국들과 공동으로 중국 포위 정책을 펴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미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이익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중국은 그것을 존중한다”면서도 “미국과 일본 등과의 군사동맹은 역사적으로 형성된 것이지만 그것이 제3국의 이익을 해치면 안 된다는 게 우리의 일관된 주장이며 어느 국가도 중국에 대한 포위망을 형성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뉴욕 타임스>는 13일 사설을 통해 19일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에서 북한 문제가 최우선 의제에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북한의 연평도 포격 등을 계기로 경계감을 느낀 미국 정부가 한국에 북한과의 양자대화를 재촉하는 동시에 미국도 북한과의 직접대화와 6자회담 복귀에 대해 고려하고 있다고 전하며 “북한과의 2년간의 교착상태는 일을 더 위험하게 만들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