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 원천봉쇄 혈안…언론엔 집회 취재 금지령도
중요 정치행사인 양회(전인대·정협)와 ‘재스민 시위’ 움직임이 맞물린 민감한 상황 속에서 중국이 언론과 시민들에 대한 감시망을 촘촘히 짜고 있다.
중국 공안 당국이 ‘재스민 시위’ 발생 가능 지역을 아예 ‘취재금지구역’으로 설정해 기자들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나섰다. 왕푸징관리건설국 간부인 셰칭둥은 <로이터> 통신에 “국내외 기자들은 왕푸징에서 취재하기 전에 항상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베이징 중심가의 왕푸징은 최근 1·2차 ‘재스민 시위’ 시도가 있었던 곳이다. 많은 기자들은 왕푸징과 상하이 중심가 인민광장 등에서 특별허가를 받지 않고는 취재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공안은 2일과 3일에도 다시 일부 외신 기자들을 공안국으로 소환해 시위 예정장소에서 취재를 하면 취재허가증을 취소하고 처벌하겠다고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 방송사의 한 기자는 <에이피>(AP) 통신에 2일 공안국에 불려가 다시 왕푸징 거리에 나간다면 처벌을 받게 될 것이며 일상 생활도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는 위협을 받았다고 밝혔다.
지난달 20일과 27일 ‘재스민시위’ 움직임에 이어 오는 6일에도 ‘3차 재스민시위’를 열고 매주 일요일마다 시위를 정례화하자는 글이 최근 확산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지난달 27일 왕푸징 거리에 대규모 공안 인력과 특수기동대(SWAT)까지 동원해 시위를 원천봉쇄했으며, 이 과정에서 취재중이던 일부 외신기자들이 구타당하거나 구금됐다.
이런 가운데 베이징시 당국이 3일 휴대전화 신호를 파악해 24시간 시민 동태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빅 브러더’ 논란이 일고 있다. 베이징시는 중국이동통신(차이나텔레콤)과 함께 시내 1700만 휴대전화 사용자의 데이터를 기초로 위치를 추적하는 ‘베이징시민 외출동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베이징시과학위원회 리궈광 부주임은 “일정 지역의 교통량을 파악해 교통 정체를 완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시스템이 개인들의 행동을 추적하고 시위 움직임을 감시하는 용도로도 쓰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정부가 시민들의 사생활을 감시하고 사생활 정보가 유출될 위험이 크다는 반발이 거세다. 야후 토론방에서 한 네티즌은 “사용자의 동의를 얻지 않는다면 도청과 무슨 차이가 있느냐?”고 물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