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본까지 영향”
올해는 예년보다 훨씬 강력한 황사가 찾아올 것으로 보인다.
중국 국가임업국 주례커 부국장은 21일 기상국 전문가들과 황사 관련 회의를 한 뒤, 올봄 중국 북부지역에서 가뭄이 계속되고 있어 일부 지역에서 초대형 황사 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고 <신경보> 등이 22일 보도했다. 지난해 말부터 중국 북부에서 ‘100년 만의 겨울 가뭄’이 계속돼 네이멍구, 간쑤, 칭하이, 신장 등 황사 발원지에 대량의 모래 먼지가 축적됐기 때문이다. 국가임업국은 황사 집중 발생기간인 3~5월에 위성영상 판독 업무를 강화해 대형 황사가 발생할 조짐이 나타나면 신속히 예보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황사 발생 횟수는 16~19차례 정도로 지난해보다 약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구이밍 중국 중앙기상대 수석예보관은 홍콩 <명보>에 “초대형 황사가 발생하면 가시거리가 50m 이하로 줄어 비행기가 이륙할 수 없게 되며, 호흡이 곤란해지고 농작물도 피해를 입게 된다”며 “대형 황사는 일본, 한국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가장 강력한 황사는 2006년 4월17일에 발생해 중국 내 120만㎢ 지역과 한국, 대만 등에 영향을 미쳤고, 하루 만에 33만t의 모래먼지가 베이징을 뒤덮었다.
지난 17일 몽골과 중국 네이멍구, 간쑤성 등에서 대규모 모래폭풍이 일어나 18일부터 베이징 등 중국 북부에 미세먼지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현상이 나타났지만, 베이징의 경우 가시거리가 10㎞를 넘어 아직 황사가 공식적으로 발생하지는 않았다고 중국 기상국은 설명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