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들의 홍콩 원정출산 추이
지난달 31일 중국 광둥성 선전의 ‘홍콩 원정출산’ 중개업소들엔 전화소리가 끊임없이 울려댔다. 홍콩 정부가 중국 본토 출신 임신부들이 홍콩에 와 아이를 낳는 것을 제한하기로 했다는 언론 보도가 이날 나오면서, 홍콩 원정출산을 고려하던 젊은 부부들의 문의 전화가 폭주한 것이다.
홍콩 정부의 요크 초우 식품·위생국장(보건부 장관 격)은 “공공병원에서 중국 임신부들의 출산 할당 쿼터를 줄이고 출산 수가를 높이는 것을 검토”할 뜻을 밝혔다. 사립병원에 대해선 ‘자유적 규제’를 권고하겠다고도 말했다. 초우 국장은 “2004~2005년에는 본토 임신부들이 홍콩에서 출산하는 경우가 한해 수천명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매년 4만명 이상이 홍콩의 병원에서 출산하고 있어 홍콩 의료 서비스에 커다란 압박 요인이 되고 있다”며 “현지 임신부들에게 우선권을 주는 게 원칙”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최근 <남방도시보>의 보도를 보면 지난해 홍콩에서 태어난 신생아 8만8495명 가운데 약 46%인 4만648명이 중국 본토 여성이 홍콩에 와서 낳은 아이다. 본토인들의 원정출산으로 정작 홍콩 임신부들이 병상이 부족해 대기하는 상황이 잇따라 홍콩인들이 불만을 터뜨리자 당국이 규제 움직임을 보낸 것이다. 공공병원 산부인과 의료진들은 지난달 28일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가 중국 본토 임신부들의 원정출산을 제한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홍콩은 2007년에도 출산 7개월 전에 홍콩 병원에서 검사를 받고 분만을 예약해야만 홍콩에서 아이를 낳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원정출산을 제한하는 조처를 취했지만, 중국 임신부들은 계속 밀려오고 있다. 최근 아내가 홍콩에서 둘째를 낳았다는 중국인 저우텅팡(38)은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에 “아이가 더 나은 발전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홍콩 시민권을 얻어주려고 홍콩에서 아이를 낳았다”고 말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