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가 16일 워싱턴 백악관의 맵룸에서 만나고 있다. 백악관은 이날 이 단 한장의 사진만 공개했다. 백악관 제공
미, 중국 다각도 견제
백악관서 “티베트인 인권 강조” 중 정부 ‘내정간섭’ 강력 반발
7함대 함정 3척, 다낭항에 기항 ‘남중국해 다툼’ 동남아 협력 강화
백악관서 “티베트인 인권 강조” 중 정부 ‘내정간섭’ 강력 반발
7함대 함정 3척, 다낭항에 기항 ‘남중국해 다툼’ 동남아 협력 강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16일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를 만나자, 중국이 강하게 비난하고 나섰다.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두 사람의 만남은 지난해 2월 이후 17개월 만에 이뤄졌다. 백악관은 회동 뒤 성명을 통해 “오바마 대통령은 티베트와 티베트인 고유의 종교, 문화, 언어전통의 유지에 대한 강한 지지를 되풀이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또 “오바마 대통령은 중국의 티베트인들의 인권보호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백악관은 중국 쪽을 의식해 티베트가 중국의 일부라는 점을 재확인하는 한편 “대통령이 미-중 파트너십 구축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했다”고 말했다. 백악관은 “달라이 라마는 티베트의 독립을 추구하지 않으며, 중국 쪽과의 대화가 곧 재개될 수 있기를 기대했다”고 덧붙였다. 백악관은 중국의 반발을 고려해 대통령 집무실인 오벌오피스가 아닌 사적 공간인 관저의 맵룸에서 달라이 라마를 맞았고, 만남 뒤 사진 단 한장만 언론에 제공하는 등 조심스런 행보를 보였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반발은 격렬했다. 마자오쉬 외교부 대변인은 17일 <신화통신>을 통한 성명에서 “이런 행위는 중국 내정에 대한 엄중 간섭으로, 중국인의 감정을 해치고 중-미 관계를 손상시켰다”고 성토했다. 또 추이톈카이 외교부 부부장은 17일 새벽 베이징 주재 미국 대사관의 로버트 왕 대사대리를 외교부로 불러 엄중히 항의하고, 장예쑤이 주미 중국대사도 미 국무부 쪽에 정식 항의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취임 첫 해인 2009년 중국 방문을 앞두고 당시 워싱턴을 방문했던 달라이 라마를 만나지 않아 인권운동가들로부터 비난을 받은 바 있다.
워싱턴 베이징/권태호 박민희 특파원
해군은 베트남과 연합훈련
미군 제7함대의 해군 함정 3척이 15일 베트남 다낭항에 기항하면서, 7일간의 미국-베트남 연합 군사훈련이 시작됐다. 남중국해 영유권을 둘러싼 중국과 동남아 국가들의 갈등 수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이 동남아 국가들과의 군사 관계를 전략적으로 강화하고 있다고 17일 보도했다. 지난달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 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서 로버트 게이츠 당시 미국 국방장관은 “미국은 아시아에서 군함 기항을 늘리고 해군 활동과 다자 훈련을 강화하겠다”고 선언했다. 싱가포르에는 최신형 연안 전투함(LCS)을 배치하기로 했고, 미국과 타이 등이 해오던 연례 코브라골드 군사훈련에는 올해 처음으로 말레이시아 군이 참가한다. 미국과 6개 동남아 국가들이 해오던 캐럿 합동해상훈련(CARAT) 훈련에는 올해 6월 캄보디아가 처음으로 참가했다. 미국-베트남 군사훈련의 미국 사령관인 톰 카니 미국 해군 소장은 15일 다낭항에서 “우리는 서태평양과 남중국해에서 50~60년 동안 활동해왔으며, 이런 활동을 멈출 뜻이 없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이번 훈련에는 미국 구축함 2척과 잠수함 1척이 참가한다. 이번 훈련을 앞두고 천빙더 중국 인민해방군 총참모장은 11일 마이크 멀린 미국 합참의장을 만난 자리에서 “이 지역에서 미국 해군이 훈련하는 것은 시기가 적절하지 않다”고 반발했고, 14일 방중한 김관진 국방장관을 향해서도 미국의 남중국해 개입을 맹비난하기도 했다. 19~23일 인도네시아에서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는 아세안 외교장관회의,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 남중국해를 둘러싼 미-중-아세안 국가들의 힘겨루기가 재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해군은 베트남과 연합훈련
미군 제7함대의 해군 함정 3척이 15일 베트남 다낭항에 기항하면서, 7일간의 미국-베트남 연합 군사훈련이 시작됐다. 남중국해 영유권을 둘러싼 중국과 동남아 국가들의 갈등 수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이 동남아 국가들과의 군사 관계를 전략적으로 강화하고 있다고 17일 보도했다. 지난달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 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서 로버트 게이츠 당시 미국 국방장관은 “미국은 아시아에서 군함 기항을 늘리고 해군 활동과 다자 훈련을 강화하겠다”고 선언했다. 싱가포르에는 최신형 연안 전투함(LCS)을 배치하기로 했고, 미국과 타이 등이 해오던 연례 코브라골드 군사훈련에는 올해 처음으로 말레이시아 군이 참가한다. 미국과 6개 동남아 국가들이 해오던 캐럿 합동해상훈련(CARAT) 훈련에는 올해 6월 캄보디아가 처음으로 참가했다. 미국-베트남 군사훈련의 미국 사령관인 톰 카니 미국 해군 소장은 15일 다낭항에서 “우리는 서태평양과 남중국해에서 50~60년 동안 활동해왔으며, 이런 활동을 멈출 뜻이 없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이번 훈련에는 미국 구축함 2척과 잠수함 1척이 참가한다. 이번 훈련을 앞두고 천빙더 중국 인민해방군 총참모장은 11일 마이크 멀린 미국 합참의장을 만난 자리에서 “이 지역에서 미국 해군이 훈련하는 것은 시기가 적절하지 않다”고 반발했고, 14일 방중한 김관진 국방장관을 향해서도 미국의 남중국해 개입을 맹비난하기도 했다. 19~23일 인도네시아에서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는 아세안 외교장관회의,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 남중국해를 둘러싼 미-중-아세안 국가들의 힘겨루기가 재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