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바오, 인플레만 강조하다 ‘성장유지’도 언급
블룸버그, 긴축정책 일부 완화 가능성 시사 분석
블룸버그, 긴축정책 일부 완화 가능성 시사 분석
중국의 긴축완화 신호인가?
미국 신용등급 강등으로 전세계 증시가 출렁이던 9일, 원자바오 총리는 “우리는 인플레이션 압력 관리, 경제성장 유지, 경제구조 조정 사이에서 적절하게 균형을 잡아야 한다”고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을 통해 밝혔다. 이날 발표된 중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6.5%로 37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지만,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서는 “물가 인상폭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겠다”고만 밝혔다. 원 총리는 지난달 두 차례에 걸쳐 “인플레이션 억제가 거시경제정책의 최우선 임무”라고 강조했으나, 이날 세계 금융시장 위기를 점검하고 대책을 논의한 국무원 상무위원회를 주재한 뒤에는 이런 발언을 하지 않았다.
원 총리 발언의 ‘미묘한 변화’는 중국이 전세계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긴축정책을 일부 완화해 성장 유지를 함께 챙기겠다는 정책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고 미국 <블룸버그 뉴스>와 홍콩 <명보> 등이 10일 분석했다. 중국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경기부양책으로 세계경제의 버팀목 구실을 했다.
중신은행 랴오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경제가 경기후퇴에 빠지면 중국이 지급준비율이나 이자율을 낮추는 방안을 고려할 것”이라며 “현재 상황에서 (인플레 억제를 위해) 지급준비율을 추가인상하더라도 이자율을 올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현재 중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을 고려하면 통화정책을 완화할 것이라고 판단하기는 이르다고 지적한다.
중국 국무원은 9일 원 총리 주재로 회의를 연 뒤 “관련국들이 책임 있는 재정·통화정책을 펴 재정적자를 줄이고 부채문제를 적절히 처리함으로써 전세계 투자자의 신뢰를 유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지난 5일 미국의 신용등급을 강등한 이후 미국의 최대 채권국인 중국 정부가 내놓은 첫 공식반응이다.
국무원은 아울러 “중국은 G20 재무장관과 중앙은행장들이 금융시장 안정과 관련해 발표한 성명을 지지한다”며 “국제사회는 거시정책 조절 과정에서 소통을 강화함으로써 세계경제가 지속가능한 균형발전을 해나갈 수 있게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왕치산 중국 부총리도 미국의 티머시 가이트너 재무장관과 전화회담을 하면서, 세계경제 현황과 국제금융시장 동향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한편 10일 중국 정부가 발표한 통계를 보면, 중국의 7월 수출은 1751억3000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20.4% 급증해 월간으로는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베이징/박민희 특파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