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금융시장 ‘7월 위기설’에 휘청
“비은행권 ‘그림자 금융’ 축소 위해
당국 유동성 줄일 것” 우려 번져
한때 단기금리 두배까지 치솟아
“비은행권 ‘그림자 금융’ 축소 위해
당국 유동성 줄일 것” 우려 번져
한때 단기금리 두배까지 치솟아
중국 주식시장이 연일 요동치는 건, 단기자금 시장에 자금 공급이 줄어 금리가 급등한 가운데 중국 정부가 이에 적극 대응하지 않고 있다는 인식이 퍼지며 투자자들이 주식을 내다팔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중국 금융당국이 회합을 열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상하이종합지수는 장 끝에 낙폭을 0.19%까지 줄였다. 하지만 이른바 ‘7월 위기설’의 어두운 그림자가 아직 다 가신 것은 아니다. 은행 이외의 금융조직을 통한 자금 조달 및 운용을 뜻하는 ‘그림자은행’의 거래 규모가 워낙 커져 있는 가운데 중국 실물경제가 나빠지고 있어, 그것이 세계 금융위기의 도화선이 되리라는 우려도 나온다.
중국 금융시장의 이상 조짐은 최근 몇 주간 단기금리의 급등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중국의 만기 하루짜리 금리는 평소 연 5~6% 수준에서 지난 20일 11.74%까지 치솟았다. 자금 공급이 부족한 가운데 중국 정부가 유동성 공급에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는 인식이 퍼진 까닭이다.
중국 금융회사들이 6월 말 투자자들에게 돌려줘야 할 재테크형 금융상품은 1조5000억위안 규모로 전해졌다. 이들 금융상품은 투자신탁사 등이 연 10% 이상의 고금리를 내세워 투자자들에게 모아, 은행의 자금을 쓸 수 없는 부동산 개발이나, 지방정부 산하의 투명성이 낮은 투자회사에 우회투자를 거쳐 운용되고 있다. 단기자금 시장의 경색이 계속되면 이를 취급하는 중소 금융회사들이 연쇄 도산할 위험이 있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금융회사들의 이런 재테크 상품 운용을 줄이려고 단기자금 시장에 대한 자금 공급을 미루고 있다는 인식이 퍼져, 시장이 동요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시진핑 정부가 출범한 지 4개월 전후가 되는 7월에 지난 정권 때의 불량채권을 처리한다는 정부계 싱크탱크의 내부보고서가 작성된 것으로 알려지며 이른바 ‘7월 위기설’로 번졌다.
중국 인민은행은 24일 시장에 충분한 자금이 있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 보도를 보면, 24일 단기금리는 연 6.65%대로 낮아졌지만, 상하이종합지수는 폭락했다. 금리는 25일 5.80%까지 떨어졌지만 불안심리는 가라앉지 않고, 장중 상하이종합지수가 5% 넘게 떨어졌다.
주가는 오후 들어 중국인민은행과 은행감독관리위원회 등 금융당국이 상하이에서 회의를 연다는 소식이 <중국증권보> 등을 통해 전해지며 하락폭을 크게 줄여 결국 약보합세로 마감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기본적으로 총체적인 금융운용과 물가는 안정적”이라며 “시장 유동성 문제에 관한 현실을 고려해 시기 적절하게 대응해 현재의 단기적인 이상파동을 안정시키겠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이 앞으로 어떤 조처를 내릴지, 그것이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줄여줄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단기적으로 시장이 안정된다고 해도, 이른바 그림자은행을 둘러싼 불안감은 단기간에 사그라질 것 같지 않다.
일본 <도쿄신문>은 한 중국 금융전문가의 보고서를 인용해, “중국의 그림자은행 자금 규모가 2013년 현재 29조위안(약 5000조원)으로 중국 2011년 국내총생산(GDP)의 66%에 이르렀다”며 “이것이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고 18일 보도했다.
그림자은행 자금 규모는 2010년에는 약 20조위안이었으나, 그 뒤로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중국 실물경제가 나빠지고 있는 상황이라, 재테크형 금융상품들은 투자자의 원금손실 위험, 운용회사의 상환 불능 위험 등에 계속 노출돼가고 있다.
베이징 도쿄/성연철 정남구 특파원 je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전두환 전 대통령도 종북? “김일성 주석님께서는 민족의 통일을 위해…” 친서에서 밝혀
■ 새누리, “6자회담 보고받게 해줘 감사”를 ‘김정일에 보고’로 왜곡
■ 국정원 “명예 위해 대화록 공개”…나라 명예는 안중에 없었다
■ 홍명보의 한 수 “원 팀, 원 스피릿, 원 골”
■ [화보] 6.25 63주년...미공개 사진으로 본 그날의 현장
■ 전두환 전 대통령도 종북? “김일성 주석님께서는 민족의 통일을 위해…” 친서에서 밝혀
■ 새누리, “6자회담 보고받게 해줘 감사”를 ‘김정일에 보고’로 왜곡
■ 국정원 “명예 위해 대화록 공개”…나라 명예는 안중에 없었다
■ 홍명보의 한 수 “원 팀, 원 스피릿, 원 골”
■ [화보] 6.25 63주년...미공개 사진으로 본 그날의 현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