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정성(가운데)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이 27일 베이징에서 열린 제19차 상임위원회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베이징/신화 연합뉴스
중국이 해마다 3월 개최하는 대형 정치행사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오는 3일 정협 개막과 함께 시작된다.
양회에서는 중국 중앙 및 지방정부의 모든 분야 핵심 정책이 논의되지만,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다. 2010년을 기점으로 10%대 초고속성장 시대가 저물고, 성장이 둔화되면서 지난해 중국 경제당국은 ‘온중구진’(안정 속 성장)을 목표로 내건 바 있다. 수치는 5일 전인대(입법부) 개막식에서 국무원(행정부) 수장인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 보고’에서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지난해 성장률은 6.7%였다. 올해 전망치는 아시아개발은행(ADB) 6.4%, 세계은행 6.5%, 중국사회과학원 6.5% 등 6%대 중반으로 제시된다.
올해 국방예산 규모도 관심거리다. 지난해 중국 국방예산은 전년 대비 7.6% 늘어난 9543억5천만위안(약 157조원)으로, 2010년 이후 처음으로 한 자릿수 증액이었다. <환구시보>는 28일치 사설에서 미국의 새 행정부 출범과 중국의 부상 등 국제정세 변화에도 국내총생산(GDP)의 1.5%에 불과한 국방비는 부족하다며, 두자릿수 증가율과 국내총생산의 2% 예산 책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중국이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등으로 주변지역 군비 경쟁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올해는 시진핑 집권 1기(5년)의 마지막 양회로, 가을에 있을 제19차 당대회 및 지도부 교체를 앞두고 있다는 의미도 크다. 큰 정책 변화보다는 안정 속에 ‘유종의 미’를 목표로 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것도 그 때문이다.
한편, 이번 양회에서는 ‘반환’ 20주년을 맞는 홍콩에 ‘특별 대우’가 예상된다고 홍콩 언론들이 전했다. <명보>는 지난 4년 간 장더장 상무위원이 참석했던 홍콩 대표단 회의에, 올해는 시진핑 주석이 처음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현재 진행 중인 홍콩 행정장관 선거에 중국 정부가 개입하려는 시도일 수 있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