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머런 “프 탈출 사업가들 영국서 환영” 경솔한 농담
올랑드 “자기가 말한 것에 책임 져야해” 과도한 짜증
올랑드 “자기가 말한 것에 책임 져야해” 과도한 짜증
입이 너무 가벼운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와 유머감각이라곤 없는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결국 ‘영-프 충돌’을 일으켰다. 보수와 진보라는 뚜렷한 정책 차이를 보여온 두 정상이 전세계 언론의 주목 속에 극복하기 힘든 성격 차이까지 확인한 것이다.
먼저 도발한 것은 캐머런 총리다. 그는 지난 18일 G20 기업인 포럼을 취재 온 기자들에게 올랑드 대통령의 주요 공약인 부자증세를 도마에 올려 무례한 발언을 쏟아냈다. 캐머런은 “프랑스가 연 수입 100만유로 이상 고소득자에게 소득세 75%를 과세하면, 우리는 레드 카펫을 깔고 (프랑스를 탈출해) 영국에서 세금을 낼 프랑스 사업가들을 환영하겠다”고 밝혔다. “이 세금은 학교 등 영국의 공공 서비스를 위해 쓰일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영국 총리실 대변인이 “반은 농담”이라고 밝혔지만, 다른 나라 정책에 대한 ‘국가 지도자’의 비판 치고는 경솔했던 게 사실이다.
이날 발언은 올랑드의 부자증세가 프랑스의 극소수 부자들한테만 영향을 주고 재정적자를 줄이는 데는 별 기여를 못하는 ‘상징적인 진보정책’에 불과하다는 비아냥이었다. 캐머런의 보수당 정부는 국가 세입에는 별 도움이 안 되고 기업에는 장벽이 된다면서 지난 3월 최고 세율을 50%에서 45%로 내린 바 있다.
올랑드는 이튿날 “모든 사람은 그가 말한 것에 책임을 져야 한다. 나는 그렇게 한다. 유럽의 연대가 강해져야 할 때, 나는 그걸 깨뜨리는 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라며 정색하고 캐머런을 발언을 비판했다. 캐머런의 ‘반농담’ 뒤 성장 정책 등 올랑드가 G20에 첫 참석해 밝힌 많은 어젠다들이 묻혀 버린 것에 대한 짜증도 섞여 있었다.
그러나 프랑스 안팎에서는 너무 경직된 올랑드의 대응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없진 않다. <아에프페>(AFP) 통신은 올랑드 대통령이 G20에서 ‘유머감각 부족’으로 고생했다고 평가했다. 올랑드와 달리 미셸 사핀 프랑스 노동장관은 “솔직히 나는 어떻게 영국 해협을 가로질러 레드 카펫을 깔겠다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 젖을텐데”라고 농담으로 맞받아쳐 올랑드와 비교가 되기도 했다.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