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코틀랜드와 역사배경 다른
셰틀랜드 제도 독립추진 언급
셰틀랜드 제도 독립추진 언급
‘독립 스코틀랜드는 북해유전의 막대한 수익 대부분을 차지하는 석유 부국이 될 것이다.’ 스코틀랜드 분리 독립 찬성 진영의 달콤한 구상이다. 여기에 영국 정부의 알리스테어 카마이클 스코틀랜드 담당 장관이 찬물을 끼얹었다.
카마이클 장관은 분리 독립 투표를 하루 앞둔 17일 영국 <가디언>과 한 인터뷰에서, 스코틀랜드가 독립을 선택할 경우 북해유전이 자리잡은 ‘셰틀랜드제도’도 스코틀랜드로부터 독립을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셰틀랜드가 잉글랜드와 북아일랜드 사이에 자리한 ‘맨섬’과 같은 영국의 왕립 자치령이 되거나 덴마크 영해 안의 자치국인 ‘패로제도’처럼 되는 방식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셰틀랜드제도가 스코틀랜드에서 벗어나면, 석유 부국을 향한 스코틀랜드의 꿈은 물거품이 된다. 몽상에서 깨어나 독립 반대 표를 찍으라는 경고다. 카마이클 장관은 셰틀랜드제도와 인근 오크니제도 일대를 대표하는 자유민주당 소속 하원의원으로, 지난해 10월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의 보수·자민당 연립정부에 입각했다.
스코틀랜드 독립 찬성 진영은 펄쩍 뛰었다. 찬성 운동 진영을 대표하는 ‘예스 스코틀랜드’의 대변인은 “섬을 포함해 스코틀랜드 전역에서 찬성 운동에 힘이 실리고 있으며, 셰틀랜드 지역 언론인 <셰틀랜드 뉴스>도 독립 지지를 표방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셰틀랜드를 대표하는 스코틀랜드 의회 하원의원인 태비시 스코트는 “셰틀랜드가 찬성 진영의 말을 따를 이유가 없다”며 “스코틀랜드 독립 때는 우리도 독자적으로 (영국의) 왕립 자치령이 되는 방안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셰틀랜드 등 북해 일대의 섬 주민 1000여명은 자신들의 분리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 실시를 스코틀랜드 자치정부에 요청했으나, 지난달 거부된 바 있다.
셰틀랜드는 애초 노르웨이에 속해 있다가 1472년 스코틀랜드에 합병됐다. 스코틀랜드와는 역사·문화적 배경이 다른데다, 석유산업으로 부를 누리고 있어 스코틀랜드 본토와 경제적 이해관계도 긴밀하지 않다. 이 때문에 2만3000여 주민들 사이에선 스코틀랜드인(스코티시)보다는 영국인(브리티시)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흐름이 감지된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